레미콘 업계가 납품가격 인상을 요구하며 집단 파업에 돌입, 도내 공사현장마다 물량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도내 레미콘 및 건설업계에 따르면 레미콘 업계는 현재 표준단가의 65∼70% 수준에 그치고 있는 민간 납품가격을 76%까지 인상해줄 것을 건설업계에 요구하며 15일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 오는 17일까지 실시될 예정인 이번 파업에는 도내 54개 레미콘 조합원사중 53개 업체가 참여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레미콘 업계 한 관계자는 "개별 업체별로 거래처와 가격협상을 벌이고 있다”면서 "상대적으로 납품단가가 낮은 전주·완주지역 업체들의 협상이 결렬되면 파업기간 연장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이에따라 건설업계는 이날 파업에 동참하지 않은 1개사를 대상으로 물량확보에 나서는가 하면 타지역의 납품가격을 비교·분석해 개별 업체를 대상으로 협상을 진행중이다.
하지만 최근 철근파동 등으로 인해 가뜩이나 공사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건설업체 입장에서는 업계 요구대로 가격을 인상해줄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협상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아파트 등 건축공사 현장의 경우 공사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을 우려, 공정을 조정해 레미콘 이외의 공정을 진행하는가 하면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물량확보 대책을 마련중이다.
도내 A건설업체 현장소장은 "본사에 가격인상 요인을 설명, 본사 차원에서 협상을 진행중인 것으로 안다”면서 "단기간은 공정 조정을 통해 공사를 진행할 수 있지만 장기화된다면 공사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또 B건설업체 관계자는 "가격인상 요인은 이해하지만 다른 원자재값도 많이 올라 큰폭 인상은 어려운 실정”이라며 "원자재 가격인상으로 인한 건축비 부담은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