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쓰레기장 조성관련, 주민들 "서명 날인한 적 없다"
‘영광 생활쓰레기 종합처리장(이하 영광 쓰레기장)’ 후보지 신청서에 이어 쓰레기장 부지 인근 주민들이 영광군에 제출한 마을별 동의서도 조작되었다는 주장이 관련 자료와 함께 제시되었다.
후보지 신청서와 함께 마을별 동의서는 영광군이 고창군 상하면 인근 지역인 영광군 홍농읍 성산리 일대를 쓰레기장 최종 부지로 선정하는 행정행위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동의서 조작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영광 쓰레기장 사업의 신뢰성이 뿌리째 흔들릴 수밖에 없다.
영광군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마을별 동의서에 서명한 영광군 홍농읍 성산리 일대 주민들의 숫자는 270여명. 동의서 겉장엔 ‘주민 대표들과 영광군이 서로 일보씩 양보하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해결키로 전제하고, 생활쓰레기 매립장 부지로 선정하는데 적극 동의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동의서를 확인한 결과 수많은 주민들의 이름과 주소가 특정인의 필체로 작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몇몇 주민들이 동의서를 임의로 조작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 동의서에 자신의 이름이 기재된 주민들도 서명 날인한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이미 영광지역 주민 75명이 “영광군이 추진하고 있는 쓰레기 매립장 및 소각장의 부지로 성산리 일대가 선정되는 것에 동의한 바 없다”며 “마을별 동의서는 위조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주민들은 이같은 내용의 사실 확인서를 작성, 관계기관에 수사를 요청했다.
영광군 관계자는 “현재 재판이 진행중인 사건에 뭐가 말할 수 없다”며 “법정이나 수사기관에 의해 사실이 밝혀질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또 이 관계자는 “주민들의 동의서는 부지 선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차지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영광 쓰레기장 영향권에 위치한 고창지역 주민들과 영광지역 주민들은 지난해 쓰레기장 조성공사와 관련 행정소송을 제기,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