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대식 기자
전주시가 지난 2일 전북도가 전격 발표한 정기감사 결과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감사과정에서 감사결과, 발표시기 등 모든 부문에서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들다는 것.
전북도는 전주시에 대한 감사결과(2월20일-3월6일) 총 108건을 적발했다.
하지만 전주시 공무원 대다수는 표적감사가 아니냐며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시정발전연구소의 고속철도와 전북발전방안, 자기부상열차 등에 대한 연구사례를 꼽았다.
지역발전사례를 조사연구하는 것이 당연함에도 잘못된 사례로 지적했기 때문.
통상적으로 지적사항과 함께 발표되던 수범사례가 빠진것도 의문을 갖고있다.
특히 지방선거이후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던 감사결과가 앞당겨 발표된 배경에도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지난해 감사를 받은 김제시(44일)나 고창군(54일)과 비교할때 상대적으로 빨리 발표됐다는 불만이다.
게다가 중징계를 받은 K국장은 올해초 도 고위층과 자기부상열차와 관련 성명전을 펼쳤던 장본인이다.
이를 종합해보면 전주시 흠집내기 감사에 불과하다는 게 시 안팎의 주장이다.
시 공무원들은 강현욱 지사와 김완주 전 시장이 도지사후보 경쟁구도속에서 이같은 결과는 어느정도 예견했지만 너무 심한것이 아니냐는 입장이다.
물론 전주시는 시행정의 부실한 면이 지적된 이번 도의 감사결과를 검허하게 수용해야한다.
감사의도를 떠나 행정혁신기회로 삼아야한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조차없다.
하지만 시 공무원의 생각처럼 도 감사가 의도적이라면 정치적 중립을 견지해야하는 행정의 기본을 저버리는 처사일 것이다.
시 공무원 대다수가 이 같은 피해의식을 가지고있다 것은 사회적 낭비다.
전북도나 전주시 모두 도민들을 위한, 시민들을 위한 행정혁신에 총력해야한다.
그것이 결국 지역발전으로 연계된다는 게 대다수 도민들의 생각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