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표 기자
도교육청 관계자의 말처럼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교사가 교권을 사교육 업체 강사에게 스스로 내어주는 처사인 동시에 특정분야에서 사교육의 비교 우위를 인정한 셈이기 때문이다.
교육부 방침에 따라 실시되는 초등학교 컴퓨터 정규수업을 도내 상당수 학교가 담임 교사가 아닌 특기·적성교육(방과후 학교) 강사에게 맡겨온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가 직접 수업을 맡지 않는 이유가 전문성 부족에 있다면 더욱 심각한 문제다. 저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일부 고령층 교사들은 컴퓨터 세대를 가르치는 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전문성 확보 노력을 게을리 한 교사들을 이해할 수 있는 일은 더욱 아니다. 심지어 외부 강사에게 슬그머니 컴퓨터 수업을 맡겨놓고 개인 업무를 위해 학교밖으로 나가는 교사도 있다.
또 특기·적성교육 업체들이 학교측과의 계약 과정에서 컴퓨터 정규수업까지 담당해 주겠다고 제의하는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선 학교에서 이미 관행화된 일이지만 교육당국에서는 이같은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교육부는 특기·적성교육과 수준별 보충학습 등의 명칭을 올부터 ‘방과후 학교’라는 용어로 통합, 기존 프로그램을 확대·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 학교 정책에 대해 정규 교육과정의 정상적인 운영마저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방과후 학교에 참여하는 현직 교원은 소수에 불과하고 학교와 계약을 맺은 전문업체가 검증되지 않은 강사를 확보, 일부 학교에서 정규수업에까지 참여하고 있다.
학교의 위기는 공교육 정상화가 근본 해결책이고 이를 위해 교사들의 전문성 확보와 열정이 선행돼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확인시켜준 셈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