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관(한나라당 정읍시지부장)
보건복지부 발표에 의하면 지난해화장(火葬)이 53%로 매장(埋葬)을 넘어섰다. 장묘제도가 매장위주에서 화장으로 완전히 바뀌는 추세다.
이런 시점에서 꼴불견중 하나는, 대통령 선거를 준비하는 인사나 인물들이 빠짐없이 명당을 찾으려 유명 풍수지리사를 동원하는 일이다.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사례로 자민련 총재였던 김종필씨가 부모의 묘를 충남 부여에서 왕기(王氣)가 서린 명당인 예산으로 이장했다.
김대중 전대통령도 97년 대선을 앞두고 선친의 묘를 용인으로 초호화롭게 이장했고, 김영삼·전두환 전대통령들도 선대의 묘역을 가꾼 전례가 있는 만큼 어느 특정인을 비판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고 본다.
문제는 장묘문화 개선에 솔선수범 해야할 지도층이 국민에게는 화장을 강요하는 이중적 태도에 국민은 비분강개할 따름이다.
SK그룹 최종현 회장, 동국제강 장상태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이 화장을 택해 장묘문화 개선에 앞장선 것은 DJ(김대중 전대통령)나 JP(김종필 전총재)가 본받아야 한다. 지도층의 “나는 예외”라는 특권의식이 잔존하는 이상 “내 집 앞 화장터는 안돼”라는 님비현상을 탓 할수만도 없다.
화장과 납골시설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장제장이나 납골당 신설은 지역주민들의 집단 이기로 벽에 부닥친 상태다.
먼저 전·현직 대통령이 솔선수범해서 화장을 택해야 한다. 그래야만 총리·장관기타 공직자들은 물론 일반 국민에까지 파급효과가 커진다. 좁은 국토에 0.3%를 차지하고 있는 묘지를 고위 지도층·재력가·졸부들이 명당이라는 이름으로 차지하여 후손만대까지 복받으려는 발상을 버려야 한다.
5척 반 단구인 중국의 ‘주은래’는 돈·명예·권력을 한손에 쥐고도 “나의 시신을 화장해서 흐르는 강에 뿌려다오. 더러운 시신을 후손에까지 물려주려 하는가”라고 말했다.
왜 우리는 이러한 지도자가 없는가? 졸부들이 판을 흐트려 놓았기 때문인가? 500년전의 발상과 사고로 13만평에 700여기의 왕가(王家)의 자손들이 묻혀 있는 묘지를 부러워하고 꿈을 꾸는 한, 그런 지도자는 이 민족을 이끌 자격이 없다고 본다. 지도자들이여 이제 꿈에서 깨어나라.
/이의관(한나라당 정읍시지부장)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