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속담에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일소일소일노일노(一笑一少一怒一老)라는 말이 있다. '웃으면 복이 온다' '한번 웃으면 한번 젊어지고 한번 화내면 한번 늙어진다'는 뜻으로, 웃음이 있는 곳에 건강과 행복이 따른다는 말이다. 또 서양 속담에도 '웃음은 마음의 조깅이다' '웃음보다 더 좋은 명약은 없다' 라는 격언이 있고, 불가(佛家)의 건강 10계명 중에도 소분다소(小憤多笑),즉 '화는 적게 내고 많이 웃으라'는 대목이 있다. 이처럼 동서양이 모두 웃음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않는 것을 보면 '웃음이 신으로부터 받은 최고의 선물'이라는 말이 결코 과장된 수사(修辭)만은 아닌듯 싶다.
그러나 웃음이라고 해서 다 좋은 웃음만 있는 것은 아니다. 웃음의 종류를 딱 몇가지라고 나눌 수는 없지만 대체적으로 7가지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달갑지 않을 때 웃는 고소(苦笑), 조롱하는 태도로 웃는 조소(嘲笑), 상대방을 깔보며 쌀쌀하게 웃는 냉소 (冷笑)가 있는가 하면, 소리내지 않고 웃는 미소(微笑), 참아야 할 때 웃는 실소(失笑), 큰소리로 웃는 홍소(哄笑), 폭발하듯 갑자기 웃는 폭소(爆笑)도 있다. 그래서 때와 장소를 분간 못하고 함부로 웃다가는 큰 망신을 당하는 수도 있다.
웃음 때문에 생긴 에피소드도 얼마나 많은지 별별 유머가 다 떠돌아 다닌다. 웃음소리만 들으면 성별과 나이 직업을 죄다 알수 있다는데 같다붙임속이 그럴싸하다. 소년는 걸걸걸(Girl), 어린애는 키득키득(Kid), 남자는 허허허(Her), 여자는 히히히(He)하고 웃는단다. 또 축구선수는 킥킥킥(Kick), 요리사는 쿡쿡쿡(Cook),수사반장은 후후후(Who), 살인범은 킬킬킬(Kill)하고 웃는다나? 웃음을 소재로 웃자고 만들어낸 유머니 큰 의미를 둘 것까지는 없겠으나, 이 또한 웃음이라고 아무렇게나 웃어서는 안된다는 교훈을 던져주고 있다.
웃음 많기로 유명한 추병직 건교부장관이 물러나는 마당에서까지 웃다가 같은 국무위원으로부터 "너무 웃지 마시라"는 권유를 받아 주위를 썰렁하게 만들었다.천근만근 같은 장관직을 벗어던진다는 생각에 기분이 좋아선지, 아니면 서운한 감정 드러내지 않으려고 일부러 표정관리를 했는지 모르겠으나, 적어도 국민감정을 생각했다면 헤프게 웃을 자리는 아니었던 것 같다. '그러니까 피식이'라고 실없는 사람 취급해버리면 그만이겠지만, 일국의 장관 체신이 그래서야 어찌 국민 탓만 할 수 있겠는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