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발언대] 겨울은 독서하기 좋은 계절 - 김재춘

김재춘(완주동양초등학교장)

겨울은 여름과 달리 가정에서 책과 함께 할 시간이 많다. 겨울독서의 즐거움은 어떤 것일까. 옛 선비의 겨울책읽기에 푹빠진 예화를 들어 학생들의 뜻있는 겨울 방학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책만 읽는 바보’라는 뜻으로 스스로를 간서치(看書痴)라 불렀던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1741~1793, 영겵ㅑ떰?는 독서는 네가지 유익함이 있다고 권면(勸勉)한다.

 

첫째, 배고품을 잊게 해 준다. 속이 비면 책읽는 소리가 더 낭랑하고, 낭랑한 소리속에 담긴 뜻을 음미하느라 몰두하게 되기 때문이다. 둘째, 추위를 잊게 해 준다. 소리내어 읽다보면 바깥 기운이 소리를 따라 몸안으로 흘러들어와 편안해지기 때문이다. 셋째, 근심과 번뇌를 없애준다. 책을 읽게 되면 눈은 글자에 고정되고 마음은 이치에 몰두하므로 다른 생각이 끼어들 겨를이 없다. 넷째, 감기를 낫게 한다. 소리를 내기 위한 목구멍 운동으로 온 몸에 기운이 퍼지게 되면 막혔던 곳을 뚫어주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며 춥거나 덥거나 주리거나 병드는 것조차 잊었던 가난한 서생(書生)의 서글픈 독서 예찬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그가 지은 <이목구심서> 에 보면, 어느 몹시 춥던 겨울밤의 방안 풍경을 이렇게 적고 있다.

 

“이웃집에서 웃고 떠드는 소리가 들려온다. 매서운 눈보라는 창틈을 비집고 방안에까지 파고든다. 흩날리는 눈은 등잔에도 벼루 위에도 떨어진다. 군불도 때지 못한 냉방에서 ‘인간은 무엇을 위해 사는가?’라는 공허한 물음을 되뇌어 본다.”

 

이덕무는 자나깨나 하루도 손에서 책을 놓은 적이 없었다. 특히 읽지 못했던 책을 처음보게 되면 기뻐하며 웃었다고 한다. ‘문을 닫고 앉아 글을 읽어도 천하의 일을 알 수 있었다’하듯이 이덕무는 책을 통해 각종 지식과 정보 탐색을 즐겼다.

 

현대도 굳이 밖에 나가지 않아도 인터넷에 들어가면 원하는 정보를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오늘의 우리 삶은 왜 이렇게 불안하고 초조하며 허전한가? 이덕무의 독서예찬론이 새삼 그리움으로 떠오른다.

 

/김재춘(완주동양초등학교장)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익산동물의약품 규제자유특구 후보 익산, 미래 동물헬스케어산업 선도

문화일반전북과 각별…황석영 소설가 ‘금관문화훈장’ 영예

정부李대통령 지지율 63%…지난주보다 6%p 상승[한국갤럽]

사건·사고김제서 작업 중이던 트랙터에 불⋯인명 피해 없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오지마"…군산대 교직원 58% 이전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