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23:51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오목대] 배타성(排他性)

법무부 통계에 의하면 남한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약 1백만명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는 길거리나 지하철에서 외국인을 흔히 볼 수 있다. 1백만명 외국인속에는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 그리고 중국계 화교(華僑)도 포함된다.

 

한국 남자와 결혼한 베트남 필리핀 출신 신부들이 한국 남편으로부터 폭행내지는 학대를 받는 사례들이 많아 우리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우리속담에 피는 물보다 짙다고 하여 혈통에 대한 애착이 남달리 심한 데서 비롯되지 않나한다. 그래서 혈통이 다른 외국계 신부 그것도 친정이 못사는 빈곤국일때 우리의 배타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자기 고국을 버리고 한국에 시집온 그들에게는 남편만이 삶의 울타리 일것이다. 타민족에 대한 배타성은 이땅에 살고 있는 중국 화교(華僑)들에게도 여지없이 발휘되었다. 한국 화교들에 대한 배타적 정책 때문에 이승만 정권이후 지금까지 6만여명의 화교가 이땅을 떠났다. 이제 약 2만명의 화교들만이 남게 되어지만 우리는 지금도 한국 화교들을 정주자 (定住者)로 보지 않고 체류자(滯留者)정도로 인식하고 있다.

 

1962년에는 외국인 토지 소유 금지법이 시행되어 화교들은 집한채도 합법적으로 소유할수 없었으나 1970년에 들어서서 화교 한가구당 200평이하의 주택한채와 50평이하의 점포한채를 소유하도록 인정했다.이런 조건 때문에 한국 화교들은 주로 짜장면 집을 경영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다 2년마다 체류연장 신청을 해야했다.

 

한국 화교는 121년 동안 한국에서 살어왔기 때문에 철저히 한국화한 지한파(知韓派)이자 친한파(親韓派)이다.그래서 소위 한류(韓流)의 열풍을 먼저 퍼뜨린 것도 한국 화교였는데 1970년대에 한국 드라마가 중화권 시장에 수출되도록 했던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이유로 한국에 시집온 빈곤국 출신 외국 신부들이 많은 세월이 흐른뒤에는 그들 나라와 한국을 잇는 튼튼한 가교 역할을 할수도 있을 것이다.

 

선진국을 향해 발돋음에는 지금과 같은 배타성을 보다 큰 열린 마음으로의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에 시집온 외국 신부들이 우리미래의 큰 인적 재산이 되지말라는 법은 없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일보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