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열린마당] 지방신문 난립 이대론 안된다 - 장세진

장세진(문학평론가·전주공고 교사)

지난 성탄절 3개의 신문이 배달되지 않았다. 중앙지 1개와 지방신문 2개이다. 중앙지와 지방신문 하나는 전날치 신문에서 아예 ‘성탄절 쉽니다’는 안내를 내보내 그러려니 했다. 나머지 지방지 1개는 그런 안내도 없었는데, 배달되지 않았다. 그 신문은 이번 뿐 아니다. 툭 하면 배달되지 않는다.

 

내가 보는 일간신문은 모두 14개다. 직장에서 중앙지와 지방지 2개를 더 보고 있으니 16개의 중앙일간지와 지방신문을 보는 셈이다. 특히 중앙지는 종교계신문만 빼고 9개의 신문을 다 보고 있다. 단, 경제지는 1개도 보지 않는다.

 

관공서도 아니고 개인이 그렇듯 많은 신문을 구독하는 경우가 있을까 싶지만, 그럼에도 지방지는 절반밖에 보지 않으니 할 말을 잃는다. 새전북신문(07. 10. 25)에 따르면 전주지역 지방일간지는 12개에 이른다. 1000만 인구의 서울특별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발행 규모이다. 60만 인구의 전주시와 대비, 12개 신문 발행은 기적에 가깝다.

 

전북일보(2006. 9. 13)에 따르면 문화관광부에 등록된 지방일간신문은 88개다. 부산 3개(1개는 경제지), 대구 5개, 인천 6개, 광주 13개, 대전 11개, 울산 5개, 경기 11개, 강원 2개, 충북 6개, 전남 2개, 경북 5개, 경남 6개, 제주 3개 등이다. 어디와 비교해봐도 인구나 경제력 면에서 전북보다 못한 곳은 없어 보인다.

 

이는 인구 400만에 육박하는 부산의 2개뿐인 지방신문과 확연히 대조된다. 이 같은 전북의 지방신문 난립은 가히 기네스북에 오를 기록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신문창간에 집착하는 이유가 ‘신분상승 효과나 모기업 방패막이로 활용하려는 게 큰 이유“(앞의 전북일보)라니 그야말로 어이가 없다.

 

그런 신문들이 비판적 기능의 정론직필을 제대로 수행할 리 없다. 실제로 어느 신문은 비판적 칼럼은 거의 싣지 않고 있다. 직접 취재 없이 보도자료에만 의존해 기사화하는 일도 많다. 심지어 사설이나 사내 칼럼들을 보면 문맥이 부자연스러워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의미파악이 안되는 경우까지 왕왕 보곤 한다.

 

물론 그들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기자들에 대한 열악한 처우가 그것이다. 각종 취재비는 고사하고 월급조차 제대로 받지 못한다면 아무리 투철한 기자정신을 강조해도 우이독경이 될 수밖에 없다. 기자들의 잦은 ‘의원면직’도 그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뻔한 광고시장이니 그야말로 흙을 파서 신문내는 ‘깨진 독에 물 붓기’식 지방신문 발행을 계속 지켜봐야 하는가? 그 타개책의 하나로 지방지들은 약속이나 한 듯 중앙지와 다르게 토요휴무를 하는지 모르지만, 금요일 소식이 다음 주 월요일에나 전해지는 신문은 이미 신문이 아니다. 방송은 그렇다쳐도 토요일 중앙지로 알게된 소식을 굳이 월요일에 또 읽으려 할 독자는 없기 때문이다.

 

정말이지 신문이름조차 기억하기 힘든 지방신문난립 이대론 안된다. 경제적 시장원리와는 전혀 상관없이 진행되는 이 기현상 타파에 모두 지혜를 모을 때이다. 도민들은 ‘미운 놈 떡 하나 더 주는’ 심정으로 1가구 1지방신문 구독하기에 적극 동참해주길 기대해본다.

 

그와 함께 사주나 경영진은 마이너스의 신문사를 더 운영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정부도 기자월급 미지급 따위 부당노동행위가 있는지, 언론탄압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장세진(문학평론가·전주공고 교사)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