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금 부족…전분기대비 5.9%↑
예금은행이 제조업체에 대출한 자금의 증가율이6년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다. 국제 원자재가격이 치솟고 환율이 상승하면서 생산에 필요한 원가가 늘어나 운전자금이 부족해진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1분기중 예금은행의 산업대출 동향'에 따르면 3월말 현재 전체 산업대출금 잔액은 465조8천229억원으로 전분기말에 비해 5.9%인 25조7천798억원 늘어났다. 이는 같은 분기의 가계 대출금 증가율인 1.1%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특히 제조업 분야의 산업대출금은 전분기말 대비 6.7% 늘어나 2002년 1분기의 15.6%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1분기 기준으로 이 대출금의 증가율은 2003년 4.8%, 2004년 3.4%, 2005년 2.4%, 2006년 1.9%, 2007년 4.0% 등이었다.
제조업 산업대출금 가운데 운전자금의 대출 증가율은 1분기에 6.9%에 이르러 2002년 1분기의 11.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같은 분기 기준으로 제조업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은 2002년 11.0%, 2003년 5.3%, 2004년 3.8%, 2005년 2.7%, 2006년 1.5%, 2007년 3.8% 등이었다. 운전자금은 시설자금을 제외한 원재료비, 인건비,판매관리비 등으로 구성된다.
제조업 시설자금의 1.4분기 증가율은 6.1%로 작년 2.4분기 11.3%, 3.4분기 9.5%,4.4분기 8.3% 등에 비해서는 다소 둔화됐다.
김화용 한국은행 금융통계팀 과장은 "우량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도 확대됐다"면서 "국제 원자재가격과 환율 상승 등이 산업대출금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조업 외에 건설업 산업대출금은 7.8%, 서비스업은 5.3%의 증가율을 나타냈다.산업대출금을 성격별로 보면, 운전자금은 5.6% 늘었고 시설자금은 6.6% 증가했다.
업종별 산업대출금으로는 목재.종이.인쇄가 전분기말에 비해 13.2% 늘었고 석유.화학.의약품.플라스틱과 음식료품이 각각 8.0% 증가했다. 또 1차금속 6.2%, 기타운송장비 6.0%, 섬유.의복.신발 2.9% 등의 오름폭을 나타냈다.
서비스업에서는 운수업이 16.1% 늘어났고 과학기술.사업시설관리 24.3%, 임대업21.1%, 부동산업 5.2%, 도매.소매업 5.1% 등의 증가율을 보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