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금요칼럼] 이땅의 교육은 어디로 - 장인순

장인순(한국원자력연구원 고문)

지구상에서 이 땅의 학생과 학부형 같이 힘든 삶을 사는 나라가 또 있을까!

 

세계에서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제일 많고, 정부 예산 10%를 초과(1년간 20조원)하는 세계 제일의 사교육비를 쓰는 나라에 남은 것은 좌절감과 허탈감 그리고 무기력뿐이라니. 진정 교육의 왕도는 없는 것인지?

 

진정한 교육이란 무엇인가? 크게는 자연의 질서로 가르치는 것, 지성과 감성을 조화롭게 키우는 건, 작게는 교육 그 자체는 머리에 처넣은 것이 아니고 머리에서 커 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창의력과 상상력 그리고 사고력을 높이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초, 중, 고,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학생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느낀 것은 고학력이 될 수록 질문이 적을 뿐 아니라 학교수업이 점점 재미가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생의 70%이상이 4년 동안 한 번도 질문을 하지 않고 대학을 졸업한다면 이런 교육을 어떻게 평가해야할까?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고학력으로 갈수록 입시에 매달려 암기 위주의 반복적인 학습과, 문제를 이해하지(why)않고 푸는 방법(how)만을 강요하는 일률적인 강의로 학생들이 흥미를 잃은 재미없는 교실로 전략되었기 때문이다.

 

▲ 질문과 토론의 교실

 

우리나라 부모들은 아이들을 학교 보낼 때 하는 말의 거의 전부가 "학교에 가서 선생님 말씀 잘 들어라"이다. 한편 유대인 부모들은 "학교 가서 질문을 많이 하라"라고 가르치며, 동시에 엄마가 아이들의 입술에 달콤한 꿀을 발라주고 "배움이란 이렇게 달콤한 거야"라고 가르친다. 지극히 적은 소수민족인 유대인이 모든 학문분야에서 세계정상에 우뚝 서 있는 이유는 바로 그들의 교육에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과정에서 어떻게(how)가 아니고 왜(why)라고 하는 접근 방법은, 자연스럽게 질문을 유도하게 되고 거기에서 창의력과 상상력이 자연스럽게 생겨나고, 동시에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넘나드는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통해서 사고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우리의 교육은 일률적으로 머리에 처넣는데만 급급한 반면 유대인들은 머리에서 꺼내는 교육으로 교실이 토론과 호기심과 흥미가 가득한 곳으로 학생들이 가고 싶고 머무르고 싶은 진정한 교육의 장이 되기 때문이다.

 

▲ 열정과 용기 있는 교육자란

 

우리말에 용장 밑에는 졸장이 없다는 속담이 있다. 이는 훌륭한 교육자 밑에는 훌륭한 학생들이 있다는 뜻이다. 훌륭하고 경쟁력 있는 교육자 밑에는 학생들이 변화 할 수밖에 없으며 반드시 경쟁력 있는 학생이 태어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면 경쟁력 있는 교육자의 덕목은 무엇일까? 첫째는 학생들에 대한 사랑과 교육에 대한 열정이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꿈을 심어주고 그 꿈을 이루는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열을 알아서 하나로 가르칠 생각을 해야 한다. 한두 개를 알고 하나를 가르치면 선생님도 학생도 모두 피곤할 수밖에 없다. 많이 알수록 지도하기 쉽고 배우는 학생도 쉽게 이해한다. 그래서 가르치는 것은 예술 (Teaching is art)이라고 한다. 교육자의 가르치는 행위는 예술가가 새로운 자기 작품에 영혼을 불어 넣은 것과 같은 것으로 새로운 것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그 자체가 아름다운 것이며 곧 예술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육자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자기를 되돌아 볼 줄 아는 용기이다. 진정한 교육자는 가르치는 학생이나, 동료로부터 자신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사람이다. 그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서 자신의 장단점을 깨달음으로써 좋은 점을 더 좋게, 부족한 점을 개선할 수 있어 자신을 더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교육자의 경쟁력을 높이는 최선의 방법은 모든 교육자가 교원평가제에 기꺼이 참여하며 학생들이 무엇을 원하고, 동료들의 평가가 어떤 것인지 자기를 돌아보고 변신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학생과 교육자와 학부형이 하나 되는 것으로 즐거운 교실을 만드는 첫 걸음이라고 생각한다. 교육에 가장 중요한 것은 경쟁력이 있는 교육자이다.

 

▲ 마르지 않은 교육의 샘

 

이 시대를 시간이 뜨거운 시대 바로 무한경쟁시대이며, 자원전쟁시대, 불확실성의 시대라고 한다. 이는 아무도 거역할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다.

 

/장인순(한국원자력연구원 고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다 모였다"… 도농 상생 한마당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짝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