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구 주택을 실제 거처에 따라 복수로 처리하고 1인 가구도 가구수에 포함할 경우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은 100%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현행 주택보급률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새로운 주택보급률 산정방식을 마련했다고 31일 밝혔다.
주택보급률은 주택수를 가구수로 나눈 것으로 주택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 지표이다.
새로운 주택보급률은 그동안 1주택으로 봤던 다가구 주택을 실제 거처에 따라복수로 처리하고, 그동안 가구수에 포함시키지 않았던 1인 가구도 가구수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이에 따를 경우 2007년 기준 주택수는 250만채가 늘어난 1천629만4천800채가 되고 가구수는 360만가구가 증가한 1천636만3천600가구가 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은 99.6%가 된다.
종전 보급률(108.1%)보다 8.5%포인트 낮다.
또 수도권의 주택보급률은 95.0%로 역시 종전 방식으로 산정할 때(96.9%)보다낮아진다.
서울의 경우는 새로운 방식에 따를 경우 93.2%로 종전의 91.8%보다 높아진다.
이는 다가구 주택이 많아 주택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늘어난 게 이유이다.
국토부는 새로운 주택보급률이 주거현실을 보다 충실히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기대하면서 당분간은 시계열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현행 산정방식을 병행해 사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