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파업 MBC 시청률 변화 '미미'

MBC가 노조원들의 파업으로 일부 프로그램의 진행자를 바꾸고 편성 시간을 조정하는 등 '비상방송'을 하고 있으나 시청률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률조사회사인 AGB닐슨미디어리서치의 자료(이하 전국평균 가구시청률 기준)를 토대로 파업 돌입 한 주 전인 지난 19일부터 MBC 주요 프로그램의 일일 시청률 변동 추이를 살펴보면 26일 파업 돌입 후에도 시청률에는 큰 폭의 등락이 없었다.

 

노조원인 박혜진 앵커가 빠진 후 비노조원인 신경민 앵커 단독으로 진행하는 간판 뉴스프로그램 'MBC 뉴스데스크'의 경우 26일 시청률이 7.3%로 한 주 전인 19일의 6.9%보다 0.4% 포인트 올랐다.

 

주말인 27~28일에도 8.4%와 8.0%를 기록해 전주 같은 요일에 기록한 8.6%(20일), 7.9%(21일)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어 월요일인 29일에는 9.0%로 한 주 전인 22일의 8.1%보다 0.9%포인트 올랐으며 30일에는 7.9%로 23일의 8.0%와 비슷했다.

 

경쟁사의 뉴스 프로그램인 'KBS 9시 뉴스'는 10%대 후반, 'SBS 8뉴스'는 10% 안팎의 시청률을 유지했다.

 

MBC는 26일부터 '뉴스데스크'에 이어 방송되던 '스포츠뉴스'를 편성에서 제외했다. 대신 '스포츠 뉴스' 관련 아이템은 '뉴스데스크' 앵커가 코멘트로 처리하고 있으며 두 프로그램을 합한 방송 시간도 파업 이전보다 5분 가량 줄였다.

 

파업의 영향을 받은 다른 프로그램도 큰 폭의 시청률 하락 등 눈에 띄는 변화는 생기지 않았다.

 

박상권 기자와 이정민 아나운서가 빠진 '뉴스투데이'의 경우 26~27일에는 한 주 전과 비슷한 수준의 시청률을 유지했고, 평일인 29일부터는 1%포인트 가량 시청률이 내렸다. 반대로 '생방송 오늘아침'은 신동호, 문지애 아나운서가 빠졌지만 파업 첫 날인 26일 7.4%의 시청률을 기록, 한 주 전 같은 요일보다 2%포인트 가량 오르기도 했다.

 

평일 '5시 뉴스'와 '6시30분 뉴스'의 시청률도 파업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한도전' 등 예능 프로그램의 경우도 27~28일에는 재방송이 편성되지 않아 평소와 비슷한 수준의 시청률을 유지했다.

 

이처럼 파업에도 불구하고 시청률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은 MBC 측이 사전 제작분과 비노조원인 간부급 인력을 최대한 활용해 정상에 가까운 방송을 해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파업이 길어질 때는 주요 프로그램의 시청률도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것이 방송가 안팎의 전망이다. '무한도전', '일요일 일요일 밤에' 등 인기 오락프로그램의 재방송이 집중 편성되는 주말(3~4일)까지 파업이 이어지면 전체적인 시청률은 하강 곡선을 그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