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말 전후한 인사 가능성 대두
이명박 대통령은 2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개각과청와대 진용개편 등 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경제 위기의 조기 극복을 위한 총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이런 의미에서 2009년 이명박 정부는 비상경제정부 체제로 나가고 이에 걸맞은 국정쇄신도계속 단행해 나가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피력했다.
지속적인 국정쇄신이란 용어에 담긴 뜻은 무엇일까.이 대통령은 그동안 "위기 타개를 위한 인사는 없다"는 점을 누누이 강조해왔다.
떼밀려 사람을 바꾸지 않겠다는 게 이 대통령의 지론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인사를 할 때가 됐다고 명확히 판단될 때 인사를 단행한다는 게 이 대통령의 확고한 생각"이라며 "위기를 넘기는 식의 인사는 절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런 맥락에서 이 대통령은 당장의 상황적 필요성보다는 국정쇄신을 위한 큰 틀을 재정비한다는 차원의 인사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 대통령은 공사석에서 인사 문제에 대해선 함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이 대통령의 최측근들 조차도 인사 시점이나 폭 등에 대해선 오리무중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출범 1주년이 되는 2월25일을 전후한 시점에 여권 진용 개편을 꾀하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 대통령도 인사 파일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끝내고 인사 타이밍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1월중 인사설이 무성했으나 이보다는 다소 늦추는 쪽일 가능성이 높다는게 일부 여권 인사들의 설명이다.
경제위기의 진행 상황, 여권 내부의 역학관계 등고려해야 할 요소가 적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여권 내부에서는 내각은 탕평 인사로, 청와대는 친정체제 구축으로 진용을 포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국정을 진두지휘해야 할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알고 몸을 던질 수 있는 인사들을 중심으로 꾸려 국정 장악력과 돌파력을 배가해야 한다는 것이고, 내각은 인재풀을 넓혀 적재적소에 인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선 승리의 일등 공신인 이재오 이방호 정종복 전 의원, 곽승준 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 박영준 전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 신재민 문화관광부 차관, 정두언 의원을 비롯한 이 대통령측 핵심 의원들의 역할론이 제기되는 것도 이 같은 분위기를반영한 것이다.
내각의 경우 일부 전(前) 정권 핵심 인사의 중용설이 나오고 있다.
이들이 전면에 나서게 되면 집권 2년차를 맞는 `이명박 정부'의 개혁 드라이브는 한층 강한 힘을 갖고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여권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인사 문제에 대해선 철저히 비밀로 하고 있어 정확한 의중을 알기 어려우나 국정 드라이브 가속화를 위한 인사 요인이 없지 않은 만큼적절한 때를 골라 인사를 단행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