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문화재硏, 고려청자 2천여점 추가인양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성낙준)는지난해 9월16일이후 약 8개월간 군산 야미도 새만금사업지구내에 대한 수중발굴조사를 벌인 결과, 고려청자를 비롯한 각종 도자기 2천293점을 수습, 인양했다고 4일 밝혔다.
야미도 수중 유적은 2005년 10월 청자대접 등 유물 320점을 불법 인양한 도굴범을 검거한 일을 계기로 그동안 2006년과 2007년 연차 학술 발굴을 통해 1천806점을인양했다.
따라서 현재까지 야미도 유적에서는 총 4천100여 점에 달하는 유물이 인양됐다.
연구소는 "이들 도자기는 품질이 비교적 낮은 대접과 접시 등의 생활용품이 주류를 이룬다"면서 "그런 까닭에 거친 태토(胎土)에 암갈색 유약을 사용했으며, 구운상태가 좋지 않아 유약이 벗겨지고 산화된 것도 많다"고 말했다.
이런 면모는 전남 강진이나 해남, 전북 부안 등지의 기존에 잘 알려진 가마에서생산된 양질의 청자와는 다르다.
이런 도자기는 12세기 무렵 서남해안에 인접한 지방가마에서 민간 수요를 위해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이번에 발굴이 이뤄진 해역에서는 새만금방조제가 완공된 이후 조류가 변하고그에 따라 해저 지형의 변화가 발생, 갯벌에 묻혔던 많은 유물이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야미도 인근 해역을 비롯한 새만금방조제 주변 해저는 수중발굴의 보고(寶庫)로 급부상하고 있다.
http://cafe.daum.net/sillasa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