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0 06:16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산업·기업
일반기사

제조업 비중 9.8%…사상 첫 한자릿수

지난해 우리나라 제조업 사업체의 비중이 경제 위기의 여파로 사상 처음으로 한자릿수 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전국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소폭 증가했으나 농림어업, 광업 및제조업에서만 14만4천361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 경제위기 직격탄…제조업 비중 감소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기준 전국 사업체 수는 326만8천개, 종사자 수는 1천626만9천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0.2%와 2.0% 증가했다. 즉 인구 3명 중 1명이 사업체에 일한 셈이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전년 대비 14.3%(1만1천788개) 증가한 반면 제조업과 도매 및 소매업은 각각 4.1%(1만3천749개), 0.9%(8천188개) 감소했다.

 

특히 전체 사업체에서 차지하는 제조업 비중은 2007년 10.3%에서 지난해 9.8%로0.5% 포인트 줄었다.

 

제조업의 비중은 2000년 10.4%, 2001년 10.9%, 2002년 10.7%, 2003년 10.3%, 2004년 10.3%, 2005년 10.9%, 2006년 10.7%를 기록했다.

 

김경태 통계청 산업통계과장은 "1993년에 제조업 사업체 수의 비중이 12.2%였으며 이후 10% 이상을 유지해왔다"면서 "그런데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작년에 처음으로9.8%를 기록하며 10% 미만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사업체 총종사자 수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이 전년 대비 32.1%(16만6천121명) 늘었으며 제조업은 4.1%(13만9천40명) 감소했다.

 

사업체의 평균 종사자 수는 5.0명으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이 전년보다 2.3명 늘어난 반면 농림어업은 전년보다 1.2명 줄었다. 종사자 수가 많은 산업은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으로 평균 47.9명에달했다.

 

도매 및 소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 사업체의 평균 종사자 수는 각각 2.9명과 2.8명으로 미국의 13.7명과 17.9명에 비해 영세한 편이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의 사업체당 인구 수는 78명인데 비해 일본은 262명, 미국은 509명으로 우리나라의 인구 대비 사업체 수가 일본과 미국에 비해 크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당 인구 수는 전기, 가스 및 수도사업이 3만1천583명으로 가장 많았고 도매 및 소매가 56명으로 가장 적었다.

 

산업별 종사자당 인구 수는 농림어업이 1천668명에 달한 반면 제조업은 15명으로 낮게 나타났다.

 

◆ 사업체.종사자 절반이 수도권에 밀집

 

조직형태별로는 회사법인이 31만7천483개로 2.4% 증가했고 비법인단체가 10만개를 넘어선 10만6천379개로 12.1%나 늘었다. 반면 개인사업체는 274만9천725개로 0.1% 감소했지만 전체 사업체 가운데 84.1% 비중을 차지했다.

 

종사자는 회사법인이 670만894명으로 3.6% 증가하면서 668만8천437명으로 0.6% 감소한 개인사업체 종사자 숫자를 추월했다. 이에 따른 비중은 회사법인 종사자가 2007년 40.6%에서 지난해 41.2%로, 개인사업체는 42.2%에서 41.1%로 바뀌었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종사자 숫자가 많은 사업체 수가 크게 늘었다. 300인 이상 업체는 2천898개로 7.6%, 100~299인 업체는 1만627개로 4.9%가 각각 늘어난 반면 1~4인 업체는 271만5천860개, 5~99인은 53만8천912개로 0.1%씩 증가하는데 그쳤다.

 

또 대규모 사업체일수록 종사자 증가율도 높았다. 300인 이상 업체의 종사자는 218만9천288명으로 7.0% 증가했다.

 

시도별로 보면 수도권의 사업체와 종사자 수가 153만1천419개, 830만3천526명으로 각각 전년보다 0.2%(3천616개)와 2.4%(19만7천14명)가 늘면서 수도권 집중현상이심화됐다.

 

사업체는 서울에 72만1천1개로 전체의 22.1% 비중을 차지했고 경기 65만2천254개(20.0%), 인천 15만8천164개(4.8%) 등 수도권에 전체 사업체의 46.9%가 몰려 있었다. 부산은 25만8천335개(7.9%)로 서울과 경기 다음으로 많았다.

 

종사자도 서울 410만4천104명(25.2%), 경기 343만8천594명(21.1%), 부산 115만7천578명(7.1%) 순이었으며 수도권 비중이 51.0%를 차지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