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중ㆍ일 비교 '십이지신 호랑이' 출간
'호환(虎患)마마보다 무섭다'고 말할 만큼 우리 민족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됐던 호랑이는 다른 한편으로 인간과 지혜 대결을 펼치거나 은혜를 알고 갚을 줄 아는 영물(靈物)로 여겨졌다.
한국뿐 아니라 십이지신(十二支神)의 민속 문화를 공유하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비슷하게 호랑이는 애증의 대상이었다. 심지어 일본에는 호랑이가 서식하지 않았으나 십이지와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호랑이 문화를 공유했다.
호랑이가 한중일 3개국에서 어떤 의미가 있고, 사람과 어떤 관계를 맺어 왔는지 생태와 어원, 민담과 설화, 신앙, 문화 예술을 바탕으로 살펴보는 책 '십이지신 호랑이'(생각의나무 펴냄)가 출간됐다.
김강산 태백향토사연구소장과 류쿠이리(流魁立) 아시아 민간서사문학학회장, 야마오리 데쓰오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명예교수,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연구과장 등 한중일 학자들이 쓰고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이 엮었다.
한국 민담과 전설, 신앙에서 호랑이는 으뜸 동물을 넘어 산신(山君)으로 신성화해 인간을 탓하고 가르치는 존재로 그려졌다.
또, 사람들은 이웃이나 가족이 호랑이에게 잡아먹히면 호랑이를 탓하는 게 아니라 인간을 호랑이에게 유인하는 창귀가 있다고 보고 두려워했다. 창귀를 막으려 호식장(葬)이나 호식총(塚)이 나올 정도였다.
그와 동시에 호랑이는 아무리 사나워도 결국 깊은 불심(佛心)이나 뛰어난 지혜를 가진 인간들에게 지고 마는 모습으로도 등장하면서 인간과 호랑이의 차이, 도덕성과 정신력의 의미를 드러냈다.
중국에서도 호랑이는 사람과 통하는 영성을 가지며 인간의 도덕성을 심판하는 영물로 여겨졌다. 이미 신석기 시대에 도상에 등장할 만큼 숭배의 대상이 됐다.
일본 옛이야기에서는 인간이 싸움에서 호랑이를 물리치는 내용의 '퇴치담'이 주를 이뤘는데, 이는 일본 땅에는 호랑이가 없으므로 외부에서 전해진 호랑이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근현대 들어 19세기 회화나 문학, 20세기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등에서 호랑이는 두려움과 진실함의 상징으로 떠올라 서구화 일변도에서 벗어난 '동아시아적 국제화'가 이뤄졌음을 엿볼 수 있다.
윤열수 한국민화학회장은 호랑이를 그린 민화를 바탕으로 한중일 호랑이 문화를 풀이하면서 "삼국 호랑이 문화가 독자적으로 성립해 개별적으로 전개된 게 아니라 교류하고 융합되면서 발전했다"고 말했다.
유한킴벌리의 사회공헌 연구사업 지원으로 한중일비교문화연구소(이사장 이어령)가 시작한 '십이지신' 시리즈 첫 번째 책이다. 324쪽. 1만5천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