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0 06:23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일반기사

[전시] 추사를 통해 본 19세기의 학문과 예술

'추사를 보는 열개의 눈' 전시회

내년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가 청나라의 수도인 연경(燕京.지금의 베이징)을 다녀온 지 200년이 되는 해다.

 

추사는 1809년(순조 9) 10월28일 동지겸사은사의 부사(副使)가 된 부친 김노경의 수행원 자격으로 한양을 출발, 1810년 3월17일 귀국했다. 그는 연경에서 당대의 거유(巨儒)인 옹방강(翁方綱), 완원(阮元) 등과 교류하면서 경학(經學)ㆍ금석학(金石學)ㆍ서화(書畵)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이후 각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화봉갤러리가 내년 1월9일부터 3월1일까지 서울 종로구 관훈동 갤러리 전시실에서 개최하는 '추사를 보는 열 개의 눈' 전시회는 추사와 관련된 10개의 키워드로 19세기 학문과 예술을 이해할 수 있는 자리다.

 

 

추사의 글씨나 탁본, 그가 소장했던 책을 비롯해 추사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인물이 남긴 자료 등 210점이 전시된다.

 

사진으로 첫선을 보이는 추사의 글씨도 있다. 시인 천수경은 옥류동(지금의 서울 종로구 옥인동) 인왕산 아래 골짜기에 거처를 마련하고 그곳을 송석원(松石園)이라 했다. 추사는 1817년 이곳의 바위에 예서체로 '송석원'이라는 글씨를 썼다.

 

송석원은 지금은 땅속에 묻혀 자취를 찾을 수 없지만 1910년대 초에 친일파인 윤덕영이 이곳에 별장을 짓고 찍은 사진에는 '벽수산장'이라는 글씨 왼쪽에 추사가 쓴 '송석원'이라는 글씨가 보인다.

 

추사가 쓴 현판 글씨도 여러 점 선보인다. 김해김씨 김기종의 재실(齋室)에 있는 '귀로재(歸老齋)'라고 쓴 현판은 조형미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데 이번에 실물을 공개한다. 2006년 도난당했다 최근 다시 찾은 전주 한옥마을 학인당 현판은 탁본을 전시한다.

 

추사가 손수 탁본을 떴다는 기록이 있는 유일한 자료인 '백월비(白月碑)' 탁본첩은 처음으로 공개된다.

 

'국조화징록'(國朝畵徵錄)', '능엄강록(楞嚴講錄)' 등 추사가 소장한 책에는 추사의 인장이 또렷하게 남아 있다. '황조경세문편(皇朝經世文編)'은 추사의 세한도(歲寒圖)' 탄생의 직접적 계기가 된 책이다. 이상적은 중국에서 구한 이 책을 제주도에 유배 중인 추사에게 보냈고 추사는 어렵게 구한 책을 자신에게 보내준 이상적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려고 세한도를 그렸다.

 

추사의 문하생인 조희룡이 엮은 중인, 화가, 승려 등 43인의 전기집인 '호산외사(壺山外史)' 원본은 처음으로 공개된다.

 

전시를 기획한 포럼 '그림과 책' 박철상 공동대표는 "이제까지 추사에 대한 전시는 서화 중심으로 이뤄졌다"면서 "단순히 글씨 몇 점 보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맥락에서 폭넓게 봐야 추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입장료는 성인 1만원, 학생 5천원. ☎02-737-0057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