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나물로 비타민 섭취…점심식사 후 짧은 수면도 도움
봄이 다가오면 자꾸 하품이 나고 목덜미가 무겁게 느껴져 몸이 쉽게 피곤하고 기운이 없어지는 이들이 많다. 불청객 춘곤증 때문이다. 누구나 경험하는 춘곤증의 증상과 예방법을 살펴봤다.
전문의에 따르면 봄이 되면 활동량이 늘어나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의 필요량이 증가하고 그중에서도 비타민 소모량은 겨울보다 3∼10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겨우내 이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해 생기는 영양상의 불균형이 춘곤증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지연(30·전주시 호성동)씨는 우선 규칙적인 기상시간과 충분한 수면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기상시간과 취침시간을 규칙적으로 하고 퇴근 후 과음으로 생체리듬을 깨는 일은 피할 것을 조언했다. 활동시간대가 증가한 것에 아직 신체가 적응하지 못하므로 저녁 늦은 시간까지 활동하는 것보다는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다. 또한, 이씨는 하루 중 낮 12시 전후에 졸음이 많이 오고 식후 식곤증이 심하게 나타나므로 가능하다면 점심식사 이후 5∼10분의 짧은 수면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긴 낮잠은 바람직하지 않다. 20분 이상 자면 몸의 리듬이 다시 수면 리듬으로 가기 때문이다. 낮잠을 길게 자면 밤에 잠이 오지 않아 다음날 더 피곤해질 수도 있다.
주부 이재숙씨(42·전주시 서신동)는 춘곤증 해소를 위해서는 봄나물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대표적 봄나물로는 달래와 냉이, 쑥, 두릅 등을 예로 들며, 냉이는 야채 중 비교적 단백질의 함량이 높으며 칼슘과 인, 철분과 비타민 A가 다량 함유돼 있다고 설명했다. 상큼한 맛이 일품인 달래와 두릅은 각종 비타민이 고루 들어 있으며,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해 겨우내 움츠렸던 신체가 잘 움직일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도 덧붙였다.
/ 박영숙 여성객원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