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0 05:14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영화·연극
일반기사

"섹션 재조정"…JIFF 새로운 10년 준비하다

제11회 전주국제영화제 상역작 발표…역대 최고 49개국 참가, 전체 상영작 209편

지난달 31일 진행된 '2010 전주국제영화제 상영작발표 기자회견'에서 송하진 조직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운성 프로그래머 민병록 집행위원장 송하진 조직위원장 정수완 수석프로그래머 조지훈 프로그래머 (desk@jjan.kr)

제11회 전주국제영화제(집행위원장 민병록)가 프로그램 성격을 분명히 하고 내실을 다지기 위해 섹션을 재조정하면서 새로운 10년을 준비한다.

 

전주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는 지난달 31일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4월29일부터 5월 7일까지 전주 영화의거리 일대에서 상영될 작품들을 발표했다. 올해는 역대 최고인 49개국 총 209편(장편 131편, 단편 78편)으로 전체 상영작은 지난해 200편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개막작은 임권택 감독의 '달빛 길어올리기' 대신 박진오 감독의 '키스할 것을', 폐막작은 페드로 곤잘레스 루비오 감독의 '알라마르'로 선정됐다.

 

정수완 수석 프로그래머는 "10회까지 영화제의 성장에 집중했다면, 11회부터는 영화제의 내실을 다지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며 "프로그램을 주제별로 묶어 선택과 집중을 분명히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위)개막작 '키스할 것을' (아래)폐막작 '알라마르'한장면. (desk@jjan.kr)

 

특히 남미 출신 신인 감독들의 도전적인 영화들이 대거 포함됐으며, 다양한 스펙트럼의 다큐멘터리와 월드 단편영화도 소개돼 주목을 모은다.

 

▲ 전체 프로그램의 섹션 재조정

 

전주국제영화제는 프로그램 성격을 명확히 하고,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6개 섹션으로 재조정한다. 우선, '디지털 삼인삼색'과 '숏!숏!숏!'을 엮어 'JIFF 프로젝트'로,'국제경쟁'과 '한국장편경쟁','한국단편경쟁'을 모아 '경쟁부문'으로 만들었다. 특별전과 회고전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영화를 살펴보는 '포커스', 동시대 영화의 흐름을 아우르는 '시네마 스케이프', 아방가르드 영화를 짚어볼 수 있는 '영화보다 낯선', 작품성과 대중성을 고루 갖춘 영화를 모은 '시네마페스트'로 구성됐다. 특히 쿠바와 마그렙 등 낯선 지역의 영화를 소개, 대중적·비평적으로 성공적이었던 특별전은 올해부터 지역을 벗어나 지난 세기 폴리티컬 시네마의 귀중한 유산들을 소개하는 자리로 성격을 바꾸었다.

 

올해 '디지털 삼인삼색'은 아메리카 대륙에 눈을 돌렸다. 미국의 제임스 베닝과 캐나다의 드니 코테, 아르헨티나의 마티야스 피녜이로 감독을 초청, 세 감독의 최신작까지 따로 소개할 예정이다. '숏숏숏'프로젝트엔 이규만, 한지혜, 김태곤 감독의 '공포와 판타지'를 코드로 한 각각의 영화를 선보인다.

 

▲ 시네마 페스트 부문 신설

 

올해 '시네마 페스트'를 신설, 대중성과 작품성을 고루 갖춘 작품을 한자리에 모은다. 가족 단위 관람객들로 부터 인기를 얻었던 '영화궁전'의 상영작 수를 확대하고, 장·단편 애니메이션을 상영하는 '애니페스트'를 따로 마련하면서 '불면의 밤'과 '야외상영'까지 통합시켰다. '애니페스트'엔 한국 단편 애니메이션 4편과 좀처럼 만나기 힘든 라트비아의 최신 단편 애니메이션 4편이 초대됐다. 영화를 보기 위해서라면 밤새는 일도 마다하지 않는 열혈 관람객들을 위한 '불면의 밤'도 전북대 삼성문화회관과 메가박스에서 3일간 진행된다.

 

▲ 영화 이해도 높이는 프로그램 강화

 

관객과의 대화로 영화의 이해도를 높이고, 재미를 더하는 '시네토크'가 확대된다. 지난해'영화 평론 마스터 클래스'로 해외 영화평론가와 직접 조우하는 기회를 만들었다면, 올해는 '영화감독 마스터 클래스'로 바꿔 봉준호 감독과 포르투칼 영화의 거장 페드로 코스타 감독을 초청해 또 다른 만남을 갖는다. 특히 봉 감독은 자신이 연출한 '플란더스의 개','살인의 추억','괴물','마더'의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만을 엮은 작품을 보여준 뒤 '영화의 시작과 끝'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눌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