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운영 주체 제각각…마을 외길 등 범죄 발생땐 즉각대처 어려워
장기적으로 치안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선 단순한 개별 모니터링 수준인 진안지역 방범용 CCTV에 대해 첨단화와 함께 이를 네트워크화하는 통합관제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진안경찰서에 따르면 현재 진안 관내에는 생활안전을 위한 방범용 65대(31개소)를 비롯, 마을 방범용 79대(15개소), 교내용 3대(1개소) 등 47개소에 147대의 CCTV가 설치돼 있다.
이들 방범용 CCTV는 '범죄예방'이란 목적은 같지만, 이를 관리·운영하는 주체는 제각각이다. 생활안전용은 진안경찰서가, 마을 방범용은 마을별로, 교내용은 해당 학교에서 각각 모니터링하고 있기 때문.
이로 인해 진안경찰서 상황실에서 모니터링하지 않는 마을 외길이나 아파트 진입로 등지에서 도난 등 사건이 발생하면 범인 행적 추적에 시일이 소요되는 등 범죄 발생에 즉각 대처가 사실상 쉽지않는 폐단이 없지 않다.
좀 도둑이 극성을 부렸던 올 초, 진안읍 모 아파트에서 발생한 도난 사건을 수사하던 진안경찰이 범인 행적 추적을 위해 해당 CCTV를 확인하는 데 적잖은 발품을 팔고, 화상도가 높질않아 몽타쥬 확보에도 애를 먹었다.
'행정의 지원하에 지역에 설치된 모든 방범용 CCTV를 진안서 상황실에서 관리·운영하고, 적외선이 내장된 첨단 CCTV만 설치됐더라면 범인 검거가 더 수월했을 것'이라는 일각의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따라서 범죄발생시 채증자료 확보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지역 범죄예방에 상당한 도움효과를 줄 수 있는 IP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방범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울주군의 경우 지난 2월 울주경찰서와 '방범용 CCTV 관제센터'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이의 운영·관리는 울주서가 맡고, 이에 따른 유지·보수는 울주군청이 실시하는 계획안을 추진하고 있다.
유비쿼터스와 도시를 연계하는 U-city성격의 이러한 '거미줄 방범망'은 방범취약지는 물론, 산불·재난위험지, 문화재보호구역 등으로까지 확대되는 추세이고, 이를 통해 각종 사건·사고·재난에 능동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찰 관계자는 '언제가는 구축해야 할 시스템'임에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군 단위에서 구축하기는 벅찬 시스템이며, 사생활 침해 논란을 든 인권단체의 반발 우려 때문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