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7개 업체 민노총 조합원, 사전 예고 없이 돌입
도내 시내·시외버스의 전례 없는 새벽 기습 파업으로 주민과 학생들의 발이 묶이는 등 사상 초유의 교통 대란이 발생했다.
8일 전주시내버스업체 5곳과 전북고속 및 부안스마일교통에 근무하는 민주노총 소속 조합원 744명이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버스 운행이 오전 한 때 전면 중단됐다.
특히 이들은 한국노총 소속 근로자들의 정상 운행을 막기 위해 버스 150여대의 타이어 바람을 빼고 정문을 봉쇄하는 등 다른 버스의 정상적인 운행을 가로막아 사태를 더 악화시켰다.
이 때문에 이날 새벽부터 운행될 예정인 모든 버스들이 차고지를 빠져나오지 못해 전주시내는 물론 완주군 일부 지역까지 이른 아침부터 최악의 교통 대란을 겪었다.
민노총 소속 버스운송사업체 종사자들이 사전 예고도 없이 기습적으로 파업을 벌이면서 다른 버스들의 운행을 물리적으로 저지해 시민들의 피해와 불편은 극에 달했다.
경찰은 정상적인 버스 운행을 가로막은 노조원 76명을 연행해 업무방해 혐의로 조사 중이다.
이날 새벽 3시 비상교통상황실을 가동한 전주시는 개인택시와 법인택시의 부제를 전면 해제하고 임시 전세버스를 투입하는 한편 안내 방송 등 파업 대비책을 강구했지만 기습 파업에 따른 교통대란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시는 이날 오전 11시경 운행 가능한 시내버스 100여대를, 오후 2시부터는 시청·구청 관용버스를 포함한 45여대의 전세버스를 전주시내 120개 전 노선에 긴급 배치했지만 하루 382대가 운행되던 평소의 배차 시간과 간격을 메우지 못해 승강장마다 주민들이 강추위속에 발을 굴렀다.
완주군도 이날 21대의 전세버스를 투입해 군민 불편 최소화에 나섰다.
전라북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파업과 관련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민노총 소속 운전자들의 불법파업 철회를 촉구한다"며 파업 참가자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기로 했다.
이들은 또 "노동법에 의거 민노총 소속 노조복수노조가 내년 6월 30일까지는 교섭당사자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파업을 주도한 버스노조민주화쟁취를위한전북지역투쟁본부는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이 단체교섭을 거부하고 탄압을 일삼았다"며 "이번 파업은 쟁의조정절차를 거친 합법적인 파업이며 8일 오전 4시부터 무기한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한편 전날 전주지방노동위원회는 이들의 조정신청에 대해 "노사간 실질적인 교섭이 이루어지지 않아 조정대상이 될 수 없다"며 양측의 성실 교섭을 권고한 바 있다.
전주시의회도 이날 채택한 결의문에서 "이번 불법 파업에 많은 시민들이 영문도 모른 채 영하의 강추위 속에 버스를 기다리며 떨어야 했다"며 시내버스 운행의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서는 등 기습 파업에 대한 비판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