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2:55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방송·연예
일반기사

EBS, 장편 3D 다큐로 콘텐츠 수출 앞장

'한반도의 공룡2'·'바빌론' 등 수출시장 노린 대형 다큐 주력

EBS가 오는 28일 봄철 프로그램 개편을 단행하면서 3D로 제작된 장편 다큐멘터리를 잇따라 선보인다.

 

EBS는 22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2011 봄 편성 설명회'를 열고 "미디어빅뱅 시대를 맞아 해외에서 밀려 들어오는 고품질 교육 콘텐츠와 당당히 경쟁하고, 나아가 대한민국 교육 콘텐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월드 탑 클래스(world top class)'를 키워드로 하는 봄 편성을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곽덕훈 EBS 사장은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핵심은 콘텐츠"라면서 "(EBS가 제작한 프로그램이) 영국 BBC, 일본 NHK가 만든 콘텐츠와 쌍벽을 이룰 수 있도록 하겠다. 이제는 EBS가 콘텐츠 수출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어 봄 개편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교육 프로그램 △감동과 이야기가 있는 공교육 지원 프로그램 △취업자를 위한 진로·직업 교육 강화 △다양한 장르의 다문화 프로그램 신설 등 4가지 목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번 개편에서 EBS가 가장 심혈을 기울인 분야는 장편 3D 다큐멘터리로, EBS는 '신들의 땅, 앙코르'와 '한반도의 공룡 2' '바빌론' 등 올해 총 3편의 장편 3D 다큐멘터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배우 정보석이 진행을 맡은 '신들의 땅, 앙코르'는 앙코르와트가 건설되기까지의 과정을 다룬 것으로 태국·캄보디아 현지에서 배우 수천명을 동원해 촬영했으며,메소포타미아 문명을 다룬 '바빌론'은 디지털 크리처(digital creature, 동작 인식 장비를 통해 배우의 움직임을 잡아낸 뒤 이를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촬영 기법)를 도입해 영상의 질을 높였다.

 

2008년 방송된 1편의 인기에 힘입어 제작된 '한반도의 공룡 2'는 영화배급사 CJ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올여름 극장에서도 상영된다.

 

국내 지상파 TV에서는 아직 3D 영상 송출이 상용화되지 않은 상황으로, EBS는 세 편의 3D 다큐멘터리를 우선 2D 버전으로 방송하고, 향후 송출 여건에 따라 3D 버전으로 다시 방영할 계획이다.

 

수출시장을 염두에 둔 대형 다큐멘터리도 눈에 띈다. EBS는 문화적 특수성을 넘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지구'와 '문명'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선정, '생명 40억년의 비밀'과 '사막' '재앙의 신호 - 화산' '문명과 수학' 등 4개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다문화 프로그램도 강화됐다. 먼저 매주 금요일 밤 12시5분 방송될 '금요극장'에서는 흔히 '제3세계'로 표현되는 아시아와 남미, 아프리카에서 제작된 영화와 다큐멘터리가 방송된다.

 

매주 월요일 오후 8시 방송되는 상황극 '꾸러기 천사들'에는 다문화 가정의 미취학 어린이들이 출연한다. 제작진은 아이들이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어울리는 모습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취업자를 위한 프로그램도 다양해졌다. 직업 정보 프로그램 '선택! 직업과 진로'를 비롯, '실전 취업 가이드' '직장학 개론' '직업의 세계 - 일인자' 등이 '띠 편성' 형태로 매일 시청자를 찾을 예정이다.

 

라디오 프로그램 중에는 '11시간 연속 생방송'에 도전하는 'EBS FM 스페셜'이 눈에 띤다.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방송되는 이 프로그램은 매월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한 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등을 활용, 시청자의 사연을 모아 소개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