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14:00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스포츠 chevron_right 야구
일반기사

[30번째 시즌 개막 앞둔 프로야구]① 이제 서른살 "이만큼 자랐다"

"최고 연봉은 2천400만원에서 7억원으로, 정규리그 관중은 140여만 명에서 600만 명 시대로."

 

한국 체육사에서 최초의 프로 리그로 출범한 프로야구가 올해로 꼭 서른 돌을 맞았다.

 

1981년 12월11일 한국야구위원회(KBO)를 창립하고, 1982년 3월27일 지금은 사라진 동대문구장에서 역사적인 개막전을 치른 프로야구는 이제 30번째 시즌 개막을 앞두고 있다.

 

강산이 세 번이나 변했지만 한결같은 팬들의 사랑 속에 국내 최고 인기 스포츠로 자리 잡은 프로야구는 지나온 세월만큼이나 엄청난 변화의 물결을 겪었다.

 

초창기 2천400만원에 불과했던 선수 최고 연봉은 7억원으로 치솟았고, 연간 140만 명이었던 총 관중 수도 올해 600만 명 시대를 열어젖힐 전망이다.

 

출발 당시 6개 구단이던 국내 리그는 최근 제9구단 합류가 결정됐고 중계권료와 마케팅 수입이 대폭 늘어나는 등 월등하게 성장한 선수들 덩치만큼이나 수많은 외형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연봉 = 가장 눈부시게 늘어난 부분이다.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더라도 성장 폭이 놀랍다.

 

1982년 프로야구 원년 연봉 상한선은 2천400만원이었다. 당시 아마추어 최고 스타인 김재박(MBC)과 미국 프로야구에서 돌아온 박철순(OB) 등 단 두 명만이 이 금액을 받았다.

 

MBC 투수 하기룡이 2천만원을 받아 뒤를 이었을 뿐 선수 대부분은 '1천만원대 연봉자'였다.

 

'거포' 김봉연(해태)과 김용희(롯데)가 각각 1천800만원과 1천600만원을 받았고, 당시 아마추어 최고 투수로 이름을 날린 황규봉과 이선희(이상 삼성), 김용남(해태)도 1천800만원을 받는데 그쳤다.

 

당시 연봉 하한선은 600만원이었다. 스타가 즐비했던 삼성을 제외한 5개 구단에 최저 연봉을 받고 뛴 선수가 존재했다.

 

올해 프로야구 연봉 하한선은 2천400만원이다. 최고 연봉 선수는 두산의 김동주로 7억원을 받는다.

 

최저 연봉은 30년 동안 4배 뛰었고, 최고 연봉은 30배 가까이 '폭등'했다.

 

선수 평균 연봉은 1천215만원에서 올해 8천704만원으로 올랐다.

 

구단별 평균 연봉의 경우 1982년에는 삼성이 1천286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올해 가장 높은 구단은 1억1천402만원(신인, 외국인 선수 제외)의 SK다.

 

구단 연봉 총액은 1982년 MBC가 3억3천4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2011년에는 SK가 59억2천900만원으로 최고다.

 

◇관중·경기·구단 숫자 = 프로야구는 1982년 정규리그에서 약 144만 명을 동원했다. 6개 구단이 총 240경기를 소화했고 경기당 평균 5천995명이 입장했다.

 

팀당 80경기를 치렀고 전후기 리그로 나뉘어 열렸다. 전기리그 우승팀인 OB와 후기리그 우승팀인 삼성이 한국시리즈에서 맞붙었고 OB가 원년 우승의 영광을 안았다.

 

당시 야구팬은 아마추어에 익숙했지만, 박진감 넘친 프로 리그에도 곧바로 큰 관심을 보였다. 이듬해인 1983년 총 경기 수는 300게임으로 늘었고 관중 수는 200만을 돌파해 약 226만 명이나 됐다.

 

시범경기가 1983년부터 도입됐고 준플레이오프는 1989년부터 마련됐다. 지역 팬의 확고한 지지를 등에 업은 프로야구는 1990년 300만 관중 시대를 열었다.

 

지난해에는 역대 최다인 약 593만 명의 관중을 동원했고 올해는 663만 명 동원을 목표로 세웠다.

 

1982년 가장 많은 관중을 모은 구단은 삼성(약 33만 명)이었으며 지난해에는 두산, 롯데, LG 등 3개 구단이 100만 관중 이상을 끌어모았다. 지난해 가장 많은 관중을 모은 구단은 롯데로 약 118만 명이었다.

 

6개 구단으로 시작한 프로야구는 1986년 빙그레 이글스가 창단했고 1991년 쌍방울 레이더스가 1군 리그에 가세하면서 8개 팀이 경기를 펼치게 됐다.

 

이제 프로야구는 최근 엔씨소프트가 창단을 선언하면서 9구단 시대를 열었다. 프로야구위원회(KBO)는 장차 10구단으로 프로야구를 꾸려갈 복안을 갖고 있다.

 

올 시즌 8개 구단은 팀당 현재 133경기를 치르고 총 532경기가 열린다. 원년부터 시행된 전후기 리그제는 1988년을 끝으로 폐지됐고 1999년과 2000년에는 드림·매직의 양대리그가 도입되기도 했다.

 

◇선수 = 1982년 총 선수 수는 141명에 불과했다. 해태가 가장 적은 21명이었고 가장 많은 삼미와 MBC도 전체 선수 숫자는 26명에 불과했다.

 

올해는 신인과 외국인선수를 빼더라도 각 구단의 선수 수는 50명 내외에 이른다. 넥센이 가장 많은 53명이고 가장 적은 삼성과 두산도 48명이나 된다.

 

여기에 신인과 외국인선수까지 합하면 전체 수는 484명으로 불어난다.

 

평균 신장도 원년 176.5㎝에서 올해 183㎝로 훌쩍 컸다. 선수들이 웨이트트레이닝 등 체력 단련에 남다른 신경을 쓴 결과 몸무게도 73.9㎏에서 85.1㎏으로 불어났다.

 

평균 연령도 26.0세에서 26.6세로 조금 높아졌다.

 

◇중계권료·수익·입장권 등 = 프로야구의 인기가 폭발적으로 높아지면서 중계권료 등 수익도 크게 늘었다.

 

원년 정규리그에서는 21억3천48만원가량의 수익을 올렸다. 경기당 평균 888만원 정도다.

 

지난해에는 20배 가까이 늘어 약 412억 1천415만원으로 엄청나게 증가했다. 경기당 평균 수입도 7천747만원가량 된다.

 

경기 입장권은 일반석을 기준으로 1982년에는 서울 3천원, 지방 2천원을 받았는데 올해는 7천원에서 1만원선이다.

 

야구장 좌석도 다양해져서 LG는 올해 중앙 지정석인 프리미엄석은 7만원을 받는다. 30만원(8인실)에서 50만원(16인실)을 받는 스카이박스도 문학구장에서 운영되고 있다.

 

중계권료의 경우 원년에는 3억원이 채 되지 않았지만 올해는 지상파 TV, 스포츠 전문 채널, 모바일, 인터넷 등을 합해 230억원가량을 벌어들일 것으로 보인다.

 

또 프로야구 원년에는 2군 구장 등 연습 구장을 갖춘 곳이 하나도 없었지만 1983년 OB가 이천에 전용 연습구장을 처음으로 마련했고 1987년에는 삼성이 경산에 동양 최대 규모의 종합 훈련장을 마련하는 등 하드웨어 부문에서도 급성장했다.

 

개막전 시구자의 경우 초기에는 정치인이 독점하다가 최근에는 연예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1982년 개막전은 전두환 당시 대통령이 직접 시구를 했고 이후에도 한동안 시장, 장관 등 정치인이 야구의 개막을 알렸다.

 

그러다가 1989년 영화배우 강수연이 광주에서 열린 해태와 빙그레의 개막전 시구를 했고 채시라(1996년), 한석규(1998년), 최민식(1999년) 등이 마운드에 섰다.

 

또 어린이 팬, 성인회원를 비롯해 장애인 입양아 애덤 킹(2001년) 등 일반인에게까지 시구의 문호가 넓어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스포츠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