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유치 배수진…분산배치 정부 약속이행 촉구·도민 동참 호소
김완주 도지사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전북유치에 대한 위기감 속에 분산배치를 관철시키겠다는 의지로 6일 삭발을 결행했다. 지역 현안과 관련해 전북도백이 삭발한 것은 새만금논쟁 종식을 요구하며 지난 2003년 서울에서 가진 도민궐기대회에서 삭발했던 강현욱 전 도지사에 이어 2번째다.
김 지사는 이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출입기자들과 간부 공무원 등 10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범도민 비상시국 선포식'을 열고 "정부의 분산배치 원칙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특정지역이 승자독식하는 일은 없도록 한층 절박한 심정으로 분산배치를 위한 싸움에 동참해달라"고 도민들에게 호소한 뒤 삭발했다
김 지사는 "정부 고위 관계자들로부터 우리에게 절대로 유리하게 돌아가지 않는다는 감을 받았다"며, 그동안 도가 요구해온 LH 분산 배치가 어려운 상황임을 내비쳤다.
김 지사는 특히"일부 부처에서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방안을 제시했다"며, 정부가 LH와 관련해 도가 요구하는 분산 배치가 아닌 다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전했다. 그러나 어떤 대안이 전북도에 제시됐는지에 대해서는 김 지사도 밝히지 않았다.
이에 앞서 김 지사는 LH 본사의 '분산 배치'를 관철시키기 위해 지난 4일과 5일 이틀간 서울에서 청와대와 총리실, 국토해양부, 지역발전위원회 고위 관계자들을 직접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 또한 "LH와 관련해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은 모두 다 만났다"며, "LH 본사 배치와 관련해 충분히 여론 수렴을 했고, 반드시 분산 배치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또 민주당과 한나라당 등 여야를 망론하고 정치권을 찾아가 LH 본사가 애초 정부 약속대로 전북과 경남 양 지역에 분산 배치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이 과정에서 관련 고위 인사는 "경남이 한 개도 내놓지 않으려고 한다"며 "전북이 빚투성이인 LH 대신, 다른 것을 요구하는 것이 실익을 가져올 것"이라며 사실상 포기를 권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정부가 LH 논의를 이미 일괄 배치로 끝내고, 과학벨트를 고민하고 있다'는 말이 나도는 등 위기감이 커지면서 김 지사가 삭발이란 초강수 카드를 꺼냈다는 분석이다.
김 지사의 삭발과 함께 LH본사 유치를 위한 도내 시민사회단체와 정치권 등도 긴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북 출신 국회의원들은 7일 오전 9시45분 국회 정론관(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LH 본사 이전과 관련한 이명박 대통령 면담을 촉구하기로 했다.
장세환(전주 완산을) 정동영(전주 덕진) 이춘석(익산갑) 조배숙(익산을) 이강래(남원·순창) 최규성(김제·완주) 김춘진 의원(고창·부안) 등 도내 의원 7명은 6일 오후 5시40분 국회 민주당 정책위의장실에서 LH 관련 긴급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삭발과 의원직 사퇴 등을 주장하는 의견도 일부 있었으나 실효성있는 대책을 추진하자는 목소리가 많아 기자회견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의원들은 1차로 대통령 면담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의 입장을 지켜본 뒤 추후 대응 방안을 다시 강구하기로 했다.
전북도의회도 6일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청와대와 정부에 'LH분산배치'를 촉구하는 도의회 차원의 결집된 의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청와대앞 도의원 릴레이 1인시위나 의원 사퇴 및 삭발 등을 검토키로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