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개각 시기를 놓고 고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4.11 총선을 감안, 8.15 광복절 경축사 이후 적절한 시점에 국회의원 겸직장관을 우선 교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장관 후보군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새 장관이 정기국회를 감당할 수 있겠느냐는 현실론도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결심이아직 서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8월 개각설에 대해서는 양론이 팽팽해 아직 시행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교체하자는 쪽은 임기 1년 반을 앞둔 시점에 정권에 대한 충성도와 전문성이 높은 인물이 전면에 포진함으로써 이 대통령의 성공적인 국정운영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정기국회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인사청문회 일정 등을 감안하면 교체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현재로선 더 우세하다.
이 때문에 이재오 특임,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 등 의원직을 겸직하고 있는 장관들의 경우 내년 총선 출마를 위한 사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시기를 놓고서는 여전히 유동적인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부의 경우 학자 출신이 거론되고 있으나, 내년 총선 공천 등과 맞물려 후임장관이 아직 본격적으로 검토되는 단계는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문화부 후임 장관 인선은 먼저 정 장관의 거취가 결정돼야 본격 착수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복지부장관으로는 강윤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 노연홍 식품의약품안전청장,진영곤 청와대 고용복지수석 등의 하마평이 나오고 있다.
특임장관에는 3선의원 출신인 권철현 전 주일대사가 물망에 오르고 있고, 일각에선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으나, 적임자가 없을 경우 당분간 비워둘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
남북관계의 돌파구 마련을 위한 새 인물론이 제기되는 통일부 장관에는 현 정부초대 대통령실장을 지낸 류우익 전 주중 대사가 거론된다.
대북 원칙론자로 통하는 천영우 외교안보수석과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 교체론도 이 같은 연장선에 있다.
그러나 청와대의 한 핵심 참모는 "8월 중에 장관을 바꾸는 게 쉽지 않을 것"이라며 "내년 총선을 앞둔 정기국회에서 야당의 공세가 거세질텐데 새로운 장관이 감당하기 어렵고, 인사청문회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정, 진 장관은 각각 재임 기간이 6개월과 1년밖에 되지 않은 데다 자신의 분야에서 성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평가도 있고, 일단 기용한 인물은 쉽게 바꾸지않는 이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어, 8월보다는 오히려 연말 쪽이 더 가능성이 높은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