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소리축제 조직위에 위탁”·조직위 “확답 안했다”
전북도가 새만금 상설공연장을 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에 위탁하는 방안을 마련했지만, 정작 소리축제 조직위원회가 “(이에 대해) 확답한 적 없다”고 밝혀 향후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가 새만금에 볼거리를 위해 마련한 상설공연은 완성도가 낮다는 지적을 받긴 했으나 관람객들이 꾸준히 증가해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이에 전북도는 올해 치러진 입찰 방식으로는 공연장 운영의 노하우가 축적되지 않고, 매년 업체가 바뀔 수 있는 데다 준비 기간이 부족하는 등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 소리축제 조직위원회에 보조사업 형식으로 위탁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소리축제 조직위는 “소리축제를 제대로 치르는 것만으로도 버거워 맡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여 향후 새만금 공연장 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전북도는 올해 연말까지 최종 합의안을 도출해낸다는 계획이지만, 양측 간 이견이 큰 데다 뾰족한 해결책이 없어 이 기간 내 처리될 지 미지수다.
지난 8월 초 새만금 상설공연 연구를 맡은 TF팀은 애초에 여러 가지 논란을 빚은 입찰 대신 책임있는 법인에 맡기는 것을 전제로 다양한 안을 검토해왔다. 현재 제시되는 안은 소리축제 조직위원회에 맡기는 방안, 신규 법인 혹은 투명성 있는 법인에 맡기는 방안 등이다. 하지만 TF팀은 전북문화재단 출범이 또다시 미뤄진 상황에서 짧은 시간 내 신규 법인을 설립하는 것은 난항이 예상 돼 소리축제 조직위에 위탁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문화예술인은 “새만금 상설 운영장을 제대로 운영하려면 장기적으로 ‘새만금 문화사업단(가칭)’을 만드는 과정으로 진행돼야 한다”면서 “새만금 상설 공연장을 소리축제 조직위에 맡기든 안 맡기든 간에 별도 법인을 만들기 위한 시간과 노력은 소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5월 28일 개막한 새만금 상설 공연은 11일까지 계속된다. 전북도는 새만금 33센터 앞 공연장 부지와 건축물 사용은 농수산식품부와 농어촌공사 등과 협의해 연장했으며, 예산은 국비 10억 등 총 20억이 확보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