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축분뇨 민원 470건, 전년보다 138건 증가...전북환경운동연합·전북도 갈등조정협의회 분석
최근 도내 농촌지역에 잇따라 대규모 축사가 들어서면서 지역주민들의 민원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축분뇨 무단배출 사례도 해마다 늘어 행정기관의 철저단 지도단속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전북환경운동연합과 전북도갈등조정협의회는 28일 도의회 세미나실에서 ‘가축 사육시설 입지 갈등 및 수질오염 저감 정책토론회’를 열고 농촌지역 집단 갈등 요인으로 부각된 가축사육시설 오염원 저감 방안을 논의했다.
전북도와 전북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도내 가축분뇨 관련 민원은 2009년 332건에서 지난해 470건으로 늘었다. 지난해의 경우 축사 악취에 따른 민원이 32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규모 축사 입지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민원도 45건에 달했다.
이와함께 가축분뇨 무단배출 적발건수도 2006년 17건에서 2009년 40건, 2010년에는 63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내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가축사육에 대해 축산업 허가제가 실시됨에 따라 최근 축사 신축이 크게 늘고, 또 규모화·기업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전북환경운동연합의 분석이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정책기획국장은 “가축분뇨는 하천 수질오염은 물론 새만금 호소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주요 오염원이다”며 “가축사육 허가제와 연계,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을 확대하고 시설개선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