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문화예술단체장 선거에서 선거인 및 후보의 자격문제들이 잇따라 불거져 지역 문화예술계가 홍역을 치르고 있다. 다른 분야에 모범이 돼야 할 문화예술인의 선거가 감투 싸움으로 치닫는 것에 대해 문화계 안팎의 우려가 크다.
새해 들어 지난 10일 전북예총 회장 선거를 시작으로, 13일 전북문인협회장, 16일 전주예총회장 선거가 치러졌다. 전북예총 회장 선거에서는 김학곤 후보측에서 일부 대의원 자격을 문제삼아 당초보다 40여분 늦게 투표가 시작되는 등 선거현장의 분위기를 어색하게 만들었다.
김 후보측의 이의제기는 기한을 넘겨 선거 당일에야 이루어진 데다, 이의제기 내용 또한 사전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전북사진작가협회장 자격에 문제가 없다고 해명) 예술인들간 감정만 패이게 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전북문인협회장 선거에서는 임시의장이 한쪽 후보의 공약에 비판을 가한 것이 문제가 됐다.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회의를 진행해야 할 임시의장이 한 후보의 공약이 잘못됐다는 지적을 한 것은 공약 내용의 타당성을 떠나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부적절한 처사로 비판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선거관리위원장이 임시의장의 발언을 제지하지 않아 선관위도 직무유기를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전주예총 회장 선거는 선거가 끝난 뒤 회장의 연임 제한 규정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최무연 회장은 지난 2004년, 2008년에 이어 3번째 연임에 성공했으나 전주예총 운영규정에는 한 차례 연임만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 규정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최 회장은 출마 자격이 없으며, 당선도 무효가 된다.
이에 대해 최 회장측은 이 조항이 지난해 개정된 것이어서 소급 적용되지 않으며, 회장 자격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개정 전에는 연임 제한이 없었다.
그러나 전주예총 운영규정이 언제 어떤 내용으로 바뀌었는지 임원 승인권을 갖고 있는 한국예총이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예총은 전주예총이 지난 90년대 만든, 연임 제한 규정이 없는 서류만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주예총이 제도만 바꿔놓고 한국예총에게 보고하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전주예총이 보고한 제도 변경사항을 한국예총이 허술하게 관리한 것인지도 확인되지 않는 상황이다.
지역의 문화예술단체이 임원 선출 과정에서 매번 잡음이 나게 하는 데 한국예총이 일조를 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전북예총 선거에서도 전북사진협회장에 대한 한국예총의 자격 승인 여부가 논란의 중심이었다. 차제에 지역문화예술단체 임원 선출과 관련, 지방자치의 정신을 살려 한국예총의 승인권을 없애는 방식의 제도개선도 논의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 중요한 것은 제도 문제 이전에 문화예술인들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성숙한 선거문화의 정착이 요구되고 있다. 문화예술 단체장은 회원간 친목과 발전을 위해 봉사하는 명예직임에도 감투싸움으로 비쳐지는 데 대해 문화계내에서도 자탄의 소리가 높다.
박병도 전주대 교수는 "문화예술단체장의 선거가 축제의 장이어야 함에도 갈등의 장이 되는 것에 문화예술인들의 자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3개 단체장 선거에 이어 앞으로 예총 산하 건축가협회·무용협회·사진작가협회·연예예술인협회·음악협회 회장과, 전북예총 군산지회장 선거를 남겨두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