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도시 기반 마련, 경쟁력 강화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 공동건의로 이에 따른 시너지효과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북발전연구원이 분석한 기대 효과에 따르면 광역도시 기반을 마련한 도시경쟁력 확보와 전북의 독자적인 광역경제권 구축을 통한 국토 균형발전이 꼽힌다. 사회기반시설 확충과 행정서비스의 질적 개선도 기대된다.
통합이 마무리되는 2014년 하반기 이후 통합시는 지난해 말 기준 인구 73만여명(전주 64만5894명·완주 8만4660명), 재정 1조4630억여원(전주 1조173억여원·완주 4458억여원), 면적 1027㎢의 규모로 전북도와 호남 광역경제권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다는 청사진이다.
현재 경계 지역을 중심으로 교량과 도로 확·포장사업이 이뤄져 직·간접적인 생산유발 효과가 연간 665억 원으로 추정되며, 향후 두 지역의 접근성 향상과 주민편익 증대도 따른다. 더불어 각종 사업의 인가·고시 권한위임에 따른 소요기간이 줄고 자치 행정력도 강화된다는 분석이다.
한편 지방행정체제개편위는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 건의서를 접수해 5월 중순 여론조사 등으로 주민의견을 받는다. 6월 초까지는 개편위의 본위원회 논의를 통해 통합 방안을 확정하고, 6월 말까지 대통령과 국회에 제출한다. 대선 일정을 고려하면 행안부가 내년 6월 이후 통합을 권고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주민투표 또는 의회 의결(시군의회 및 도의회)로 통합의사를 결정해 2014년 6월 지방선거를 거쳐 7월 통합 자치단체가 출범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