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관련 사업 선점 통한 관광활성화 속셈"
경남 함양군이 이웃 지리산권 자치단체들의 반발을 예상하면서도 '마천면'을 '지리산면'으로 바꾸려는 이유는 뭘까.
이와관련해 관광활성화 및 주민 소득증대를 노린 속셈이라는 얘기에서부터 다른 지리산 관련사업을 선점하겠다는 의도까지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함양군은 31일 행정구역 명칭변경을 추진하는 이유에 대해 "마천면 1206세대 중 1039세대가 참여해 966세대가 명칭변경에 동의했다. 93% 주민들이 원하니까"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민주주의국가에서 주민들의 의향을 조사해 행정에 반영하는 것이 무슨 문제인가라는 반응도 보였다.
함양군은 또 남원시와 산청군, 구례군 등의 반발을 예상했느냐는 물음에 "그렇다"고 응답해, 지난 2008년부터 추진돼온 지리산권 자치단체들 간에 상생정책을 외면했다.
함양군 관계자는 "마천면은 일제시대 때 명칭이다. 지역민들은 특산물 브랜드가치 및 인지도 상승, 관광활성화 및 소득 증대를 위해 지리산면으로 명칭변경을 원한다"면서 "생존권의 문제인 만큼, 행정은 주민들의 뜻을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바라보는 남원시민들은 관광활성화 및 주민 소득증대 등의 목적 외에 분명 다른 속셈이 깔려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시민들은 "지리산권 자치단체들이 삭도유치 문제와 문정댐 추진 문제 등으로 첨예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경남 함양군이 마천면을 지리산면으로 행정구역 명칭변경을 추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웃 자치단체들의 반발을 예상하면서도 명칭변경에 강한 의지를 드러내는 것은 지리산 관련사업을 선점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함양군은 "마천면을 '지리산면(面)'으로 명칭 개정하는 절차를 당분간 유예하기로 했다.
경북 영주시와 충북 단양군이 진행중인 '소백산면' 명칭 변경과 관련한 중앙분쟁조정위원회 2차 조정결과를 지켜본 뒤 진행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