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태어난 후 탯줄을 너무 빨리 자르지 말아야 한다는 또 하나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탯줄은 신생아가 출생한 후 1분 내에 자른 것이 보통이다.
호주 멜버른 트로브 대학 의과대학 산과학전문의 수전 맥도널드 박사는 탯줄은아기가 태어난 후 최소한 1분 후에 잘라야 태반을 통해 보다 많은 혈액이 공급돼 신생아의 철분과 헤모글로빈 수치를 높여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뉴욕 타임스 인터넷판이 11일 보도했다.
산모와 신생아 총3천911쌍이 대상이 된 15건의 무작위 실험을 종합분석한 결과탯줄을 늦게 자른 신생아가 빨리 자른 신생아에 비해 출생 24~48시간 후의 헤모글로빈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맥도널드 박사는 밝혔다.
탯줄을 늦게 자른 아기는 또 출생 후 3~6개월에 철분이 결핍될 위험이 낮다는사실도 밝혀졌다.
평균 출생체중도 탯줄을 늦게 자른 아기가 빨리 자른 아기보다 눈에 띄게 무거웠다.
이는 탯줄을 늦게 잘라 그만큼 모체의 혈액이 더 들어왔기 때문이라고 맥도널드박사는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생아의 철분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태어난 후 1~3분에자르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산부인과학회는 탯줄을 늦게 자름으로써 얻어지는 이익을 확인할만한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