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국조 마무리… 대화 통한 정국전환 가능성
여야간 대치국면이 극에 달한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민주당 김한길 대표간의 회담 성사를 통한 정국전환 여부가 주목된다.
민주당은 계속 장외투쟁을 강행하고 있고 새누리당은 원내 복귀를 촉구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평행선만 달릴뿐이다.
하지만,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국정조사가 오는 21일 청문회를 끝으로 사실상 마감되면서 여야는 어떤 형태로든 물밑대화를 통해 경색된 정국을 전환할 필요성을 느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내달 정기국회를 앞두고 민주당도 무한정 장외에서만 머물 수 없고, 국회로 복귀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여야간대화모색이 이뤄질 소지가 크다.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18일 "지금 상황을 풀 수 있는 분은 박근혜 대통령밖에 없다"고 말한 것도 의미심장한 대목이다. 문 의원은 이날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엄수된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4주기 추도식에 참석, "박 대통령이 지금 상황에 대해 사과하고 남재준 국정원장을 해임, 국정원을 바로 세워 무너진 민주주의를 되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 일을 하시는 게 박 대통령의 책무"라고 밝혔다.
문 의원은 이어 대통령과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의 단독회담 수용을 촉구해 눈길을 끌었다.
꼭 단독회담이 아니더라도 대통령과 야당 대표간 회담 필요성이 크다는 점에서 여야는 회담 형식과 시기를 놓고 의견 교환에 나설 소지도 있다.
국정조사가 마무리돼가는 현 시점에서 여권으로서는 어떻게든 야당을 원내로 불러들여 정국을 안정시켜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는게 사실이고, 야당도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등 핵심 증인을 국조에 출석시킨 상황에서 끝까지 장외투쟁을 하면서 투쟁 동력을 이어가기에는 부담이 크다.
8월 정부예산 결산과 9월 정기국회에서 내년도 예산과 민생법안, 세제개편안 처리 등이 산적한 상황에서 여야 모두 '국정원 댓글·대화록 정국'에서 빠져나오지 못할 경우 국민적 비판이 클 수밖에 없다. 여야는 그동안 단독 영수회담, 여야 대표가 참석하는 3자회담, 원내대표도 참여하는 5자회담을 놓고 힘겨루기를 벌였지만 이제 여권에서는 회담 형식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는 공감대가 확산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