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 우리 나라에 살아계신
위안부 피해 할머니가
또 한분 세상을 떠났습니다.
(여) 그토록 원했던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는
끝내 받지 못했는데요.
(남) 이제 쉰 여섯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채널 A 제휴사인
전북일보 은수정 기잡니다.
[리포트]
1942년, 16살의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던 고 최선순 할머니.
아버지의 약을 사러 장에 나갔다가
일본에 끌려간 뒤 3년 동안
지옥생활을 했습니다.
일본군이 건네준 아편에 중독됐던 할머니는
한국에 돌아와서도
후유증에 시달렸습니다.
[고 최선순 할머니 위안부 피해자]
“내가 세상에 어떻게 (실성했다가) 나았는가 몰라.
꼭 애기같이 깨어나더래요. 엄마 엄마 어딨어.”.
고향인 전북 고창으로 돌아와
가정을 꾸렸지만
가족들에게 아픈 과거를 밝히지 않았습니다.
[왕상문 / 고 최선순 할머니 큰아들]
“내가 위안부 갔다 왔다고. 너희들에게 말 안했다고.
너희들 사람들에게 손가락질 받는 게 싫어서 안했다고.”
할머니는 힘든 삶 속에서도
2000년 도쿄에서 열린
일본군 성노예 전범 국제법정과
수요집회에 참석해
일본의 공식적인 사과를 촉구했습니다.
[안신권/나눔의 집 소장]
“할머니들한테는 시간이 없거든요.
정부가 국제사회에서 이 문제를 제기해서
빨리 공식 사죄를 받아내야 합니다.”
할머니는 끝내 일본의 사과를 받지 못한 채
87살을 일기로 한 많은 생을 마감했습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는 234명.
그러나 최 할머니마저 세상을 떠나면서
이제 56명만 남았습니다.
전북일보 은수정입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