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A씨는 고액의 사망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는 보험을 4개월간 4건이나 가입했다. A씨는 바다낚시 중 실종된 것으로 조작해 사망 보험금 12억 원을 타려 했다. 허위 실종신고 후에는 중국에 연고가 있는 점을 이용해 해외 도피를 시도했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이 같은 보험사기 적발 규모는 5190억 원으로 전년 4533억 원보다 14.5% 증가했다. 같은 기간 보험사기 인원은 7만 7112명으로 전년 8만 3181명보다 7.3% 감소해 1인당 사기 금액은 늘었다.
보험 종류별로는 지난해 자동차 보험 사기가 2821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장기손해보험과 보장성 생명보험은 각각 40.1%, 25.2%씩 급증했다.
또 음주·무면허·운전자 바꿔치기(1218억 원)와 사고 내용 조작(867억 원)이 큰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자해와 살인, 상해 등 보험금을 목적으로 고의 사고를 내는 강력 범죄의 적발액이 1025억 원으로 26.8% 늘었다.
특히 자살·자해 보험사기는 지난 2012년 356억 원에서 지난해 517억 원으로 45%나 증가했다.
살인·상해 보험사기도 지난 2012년 79억 원에서 지난해 98억 원으로 24% 올랐다.
더불어 지난해 보험사기 연령은 그동안 증가 추세였던 10대 혐의자가 전년보다 19.1% 감소한 반면, 50대 이상 인원은 1.7% 늘면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운수업 종사자와 무직·일용직 보험사기 혐의자는 전년보다 각각 29.8%, 0.4% 증가했다. 제조업 종사자와 유흥업소 종사자는 전년보다 각각 38.0%, 30.5% 감소했다.
지난해 보험회사가 보험금 지급 심사 과정에서 적발한 금액은 전체의 약 78%인 4052억 원으로 전년 3378억 원보다 9.9% 확대됐다.
올해 금감원은 보험사기 인지 시스템 등 조사 인프라 개선을 통해 보험사기 취약 분야에 대한 모니터링과 기획조사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