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하고도 '무보직 6급' 올 8월 136명 / 민선6기 들어 조직 분위기 변화도 '한 몫'
민선 6기 전주시와 전북도간의 인사교류와 관련해 전주시 공무원이 대거 전북도로의 전출을 희망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그 배경을 놓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24일 전주시에 따르면 최근 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북도 전출 희망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출을 희망한 공무원은 66명에 달하는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직급별로는 4급(국장급) 2명, 5급(과장급) 6명을 비롯해 6급 이하가 58명이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실제 인사교류 성사 여부를 떠나 전주시에는 적잖은 충격으로 전해지고 있다.
전주시 관계 공무원은 “어느 정도는 예상했지만, 이 정도로 많을 줄은 미처 몰랐다”며 내부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전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주시의 인사적체가 주 요인중 하나로 꼽힌다.
전주시의 경우 7급에서 6급으로 승진하는 데 10년 이상이 걸리는 등 인사적체가 심각한 상황으로, 상대적으로 승진기회가 많은 전북도로의 전출을 희망했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자리가 부족해 승진하고도 담당 보직을 받지 못한 ‘무보직 6급’ 공무원이 올 8월말 기준 136명에 달하는 것이 상당히 작용했다.
한 공무원은 “인사적체로 승진하지 못한 선배 공무원들을 본 후배 공무원들로서는 10년 후의 자기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해 전북도를 선택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고 말했다.
6급 이하(58명)의 전출 희망자 가운데 7급 공무원이 40여명에 달해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것만으로 대규모 전북도 전출 희망을 해석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앞서 민선 4·5기 8년 동안 전북도로 전출을 희망하는 전주시 공무원(4∼6급)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전주시 공무원 A씨는 “당시 7급은 전입시험을 치루고 전북도로 전입했는데, 그 숫자는 연 3∼4명 정도”라면서 “더구나 4∼6급에서는 희망자가 없었다. 이로인해 전북도에서 전주시로 전입을 희망한 공무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자가 없어 인사교류가 이뤄지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인사적체 뿐 아니라 조직 분위기 변화도 또 다른 요인으로 풀이된다.
민선 6기들어 김승수 전주시장이 직접 현장을 돌며 민원을 챙기는 등 조직내 긴장도가 커지면서 그동안 해당 부서에 자율권을 주면서도 책임은 엄중히 물었던 송하진 도지사의 업무 스타일에 익숙한 공무원들이 전북도 행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힘든 일을 기피하는 젊은 공무원들의 세태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결국 이번 현상은 전주시 내부에 잠재된 다양한 요인들이 전북도의 인사교류 확대를 통해 분출된 것으로, 새롭게 출발하는 민선 6기 전주시가 풀어야 할 과제로 남겨지게 됐다.
한편 애초 이달말이나 10월 초순께로 예상됐던 전주시 인사는 전북도와의 인사교류 폭이 커질 것으로 보임에 따라 인사교류가 마무리되는 10월 중순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