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분야 단편적 전수로는 쏠림현상 못막아 / VIP 선물 등 마케팅 지원…산업화 방안 필요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의 종목 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는 원인은 경제적 문제와 함께 관심 부족 문제가 가장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대책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다음달 1일 개관을 앞둔 국립무형유산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고 기능 종목 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이에 거는 기대가 커지는 이유다.
△기능 종목 교육프로그램 강화
현재 국립무형유산원은 무형문화유산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매주 토요일 중요무형문화재 종목을 이수자에게 배우는 명품체험교실 ‘나도 전승자!(공예)’와 ‘무형아∼ 유산아∼ 놀아보자!(예능)’ 등의 프로그램으로 대중들과 호흡을 넓히는 한편 보유자·전수조교·이수자에게는 교육비를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이보다는 한 단계 더 발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북대 무형문화연구소 함한희 소장은 29일 “기능 종목의 경우 교육 방식이 도제식으로 전수 되기 때문에 단편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만으로는 명맥을 이어가기 어렵다”면서 “교육 방식을 어떻게 현대화할 것인가와 이수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법 발굴 등을 통해 우수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함 소장은 자치단체 차원에서도 기능 종목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의 전수 교육 기회를 넓혀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부분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은 도지정 무형문화재를 거쳐 지정이 되지만, 막상 자치단체의 손을 떠나면 해당 자치단체에서는 무관심이다”면서 “지원 주체가 누구냐를 따지기 이전에 중요무형문화재는 지역의 소중한 자산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역별 정기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역대표 축제 시 중요무형문화재 부스 마련 등의 노력을 자치단체에 주문했다.
△마케팅 지원
기능 종목 중요무형문화재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공예품 등의 판로가 없다는 점이다. 현재 문화재청이 정기적으로 구매를 하고 있고, 국립무형유산원이 ‘대대손손’ 마켓에서 중요무형문화재의 공예품을 전시·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통해 소비되는 공예품은 생산량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관공서에서 구매하는 기념품에 중요무형문화재 공예품을 포함시키는 의무 조항을 신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 국립무형유산원이 중요무형문화재의 공예품을 산업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한다.
황지조 백동연죽장 전수교육조교는 “국립무형유산원이 새로운 시대에 맞는 중요무형문화재의 플랫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통해 대중들에게도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연결고리를 만들어야 특정 종목의 쏠림 현상을 막을 수 있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보유자들의 숨통도 트일 것이다”고 말했다. <끝>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