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생활불편신고 앱'에 사진·동영상 등 전송 / 전주시 올해 하루당 8.25건 접수…주차문제 많아
전주에 사는 직장인 최모 씨(30·호성동)는 최근 전주 서부신시가지를 걷다가 황당함을 느꼈다. 전주시의 불법 주정차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전북지방경찰청 앞에서까지 불법주차가 버젓이 자행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최 씨는 스마트폰 카메라로 불법주차 현장을 찍은 후, 행정자치부의 ‘생활불편신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곧바로 관할 구청에 신고했다. 이른바 ‘N세대(Net Generation)’인 최 씨의 신고는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이뤄졌다.
이처럼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와 맞물려 스마트폰으로 각종 생활불편 민원을 신고하는 사례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 지난 2012년 전국적으로 확대된 스마트폰 생활불편 신고 서비스는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은 사진과 동영상을 통해 불법 주정차, 도로 파손, 쓰레기 방치, 대중교통 민원 등 시민 불편사항을 관할 행정기관에 전송하는 제도다.
2일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전주시가 처리한 생활민원 스마트폰 신고 처리 건수는 1075건이었으나 2013년 1296건을 기록하더니, 올 들어(10월말 기준) 2510건을 나타내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하루당 약 2.94건이던 생활민원 스마트폰 신고가 올해는 8.25건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행정자치부의 ‘생활불편 스마트폰 신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민원신고는 사진·동영상·정확한 위치 등과 함께 접수돼 명확한 증거로 작용한다”며 “신속한 과태료 부과가 가능해져 업무 효율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신고 사례별로 보면 올해 전주시에 가장 많이 제기된 민원은 장애인구역 불법주차(907건)였고, 그 뒤를 불법주정차(851건)가 이었다. 전주시는 지난해에도 불법주정차(493건)와 장애인구역 불법주차(265건)가 주요 신고 사례였다. 올해 전주시의 주차 문제 외 신고 사례는 교통문제(210건), 기타 생활불편(210건), 생활쓰레기 방치 및 무단 투기(164건), 신호등 및 가로등 파손(157건) 등의 순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통상 접수 후 일주일 안에 관련 민원을 처리해 민원인에게 통보하고 있다”며 “더 많은 사람들이 ‘행정자치부 생활불편 스마트폰 신고 어플리케이션’을 알고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