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군애향운동본부(본부장 송병섭)가 군민의 명예회복을 위해 정치적 음모에 빠진 심민 군수가 구명돼야 한다며 군민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운동본부는 지난 26일 군민회관에서 임실지역 60여개 사회단체 대표와 주민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건강한 사회만들기 결의대회’를 주도했다.
송회장은“지방자치 이후 임실군의 역대 군수들은 모두 선거법과 뇌물수수죄 등으로 임기를 채우지 못했다”며“하지만 심민 현 군수는 상대 후보의 정치적 함정에 빠진 희생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임실지역의 정치순화와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이같은 악순환의 고리가 완전히 근절돼야 한다”며 정치인들의 각성도 촉구했다.
송회장은 더불어“우리의 손으로 뽑은 군수가 또 다시 군민 일부의 모략으로 중도에 하차하는 사태가 발생해선 안된다”며“건강한 임실만들기에 군민 모두가 앞장서자”고 강조했다.
군민 토론회도 병행된 이날 발언에서 홍대환 임실JC 전 회장은“이번 운동의 취지와 정확한 목적이 밝혀져야 한다”며“선거풍토 개선과 지역발전에 젊은 층이 적극 앞장서겠다”고 피력했다.
심미혜 임실군여성의용소방대장도“군민 대화합을 위한 명확한 방안을 제시, 다시는 이같은 행태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지역정서의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임실군재향군인회 김대영 회장은“정치풍토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정치브로커에 대한 대응과 근절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을 주문했다.
임실군행정동우회 이강운 전 회장은“한국의 정치인들이 평소 지역에 거주하면서 주민들과 식사 및 음주자리를 안가진 사람이 몇이나 되겠느냐”며 잘못된 선거법을 질책했다.
이와 함께 이번에도 군수가 중도에 하차하면 중앙정부의 예산지원이나 주변 지자체 등도 철저히 외면할 것이라며 모든 것은 군민의 책임으로 알고 스스로 자정하자고 지적했다.
토론회에 이어 참석자들은 사회단체 대표단을 구성, 내년 1월 5일까지 심군수 구명을 위한 서명운동을 펼치기로 하고 사법부에 탄원서를 제출한다 것에 의견을 일치했다.
한편 참석자들은 이날 ‘임실군의 명예회복은 임실군민의 몫입니다’라는 프레카드와 어깨띠를 두르고 임실읍 가두캠페인과 서명운동 동참을 호소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