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문지방에 '입춘첩' / 달래 등 햇나물 무쳐먹고 보리뿌리 뽑아 풍흉 점도
1년은 크게 봄·여름·가을·겨울의 사계절로 구성된다. 24절기는 이들 계절적 특징에 따라 세세하게 스물넷으로 나눠 놓은 것이다. 예부터 농업을 중시했던 우리나라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24절기를 농사의 지표로 삼았기 때문에 절기를 챙기는 일을 중요하게 여겼었다. 24절기는 중국으로부터 유래 되었고, 옛날부터 전해 오는 것으로 음력을 사용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양력을 사용한 것이다. 24절기를 나누는 기준 자체가 달이 아닌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 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던 달력은 삼국시대에 벡제가 중국의 송나라에서 들여온 원가력(元嘉歷)을 사용했던 기록이 있으며, 그 뒤 조선 세종 때에는 일종의 태음력인 칠정산 내 외편(七情算 內外篇)의 역법에 기인한 것이다,
수필가 고재흠 씨가 각 절기에 맞춰 절기에 얽힌 우리의 풍속들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입춘은 양력 2월 4일경으로 24절기 가운데 첫 번째 절기다. 올해는 바로 오늘이다. 이 날은 봄이 시작되는 날이기도 하며,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이기도 하다.
입춘은 정월(正月), 즉 새해를 시작하는 달에 들어 있어 옛사람들은 입춘을 기준으로 해가 넘어가는 것으로 여겼다.
입춘 전날을 절분(節分)이라고도 하였는데 절분은 입춘·입하·입추·입동 등의 변천하는 때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해넘이’라고도 불리며 묵은 것을 보내고 새로운 것을 맞이하는 날이라는 뜻이다.
일부 지방에서는 이날 밤 붉은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하기도 한다.
예로부터 입춘이 되면 으레 각 가정에서는 ‘입춘첩’을 써서 무사태평과 한 해 농사의 풍년을 비는 풍속이 있다. 조선 성종실록에 의하면 대궐(大闕)에서는 입춘에 문신(文臣)들이 지어 올린 연상시(延祥詩 신년축시) 중에서 선정하여 대궐의 기둥과 난간에다 입춘 첩(帖)을 써 붙였던 것이 민간에게까지 퍼져 유행된 것이다.
민가에서는 내실 문지방에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부모님 방 문에는 ‘당상부모 천년수 슬하자손 만세영’(堂上父母 千年壽 膝下子孫 萬世榮), 대문에는 용(龍)자나 호(虎)자를 써서 붙이기도 했다. 이는 모두 한 해의 무사태평과 복을 기원하는 풍속이다.
특히 입춘에는 입춘절식(節食)이라 하여 햇나물 무침을 먹는 풍습이 있다. 산나물들을 눈을 헤치고 캐내 임금님께 진상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궁궐에서는 오신반(五辛盤)이라 하여 멧갓·승검초·달래·평지·부추 등 쓰고 맵고 쌉쌀한 다섯가지 나물들을 요리하여 수라상에 올렸다. 겨우내 결핍된 신선한 야채를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민간에서도 이를 본받아 눈 밑에서 돋아난 햇나물을 무쳐 먹는 풍속이 생겼다.
또한 농가에서는 한 해 동안의 농사를 준비하기 시작했었다. 겨우내 넣어 두었던 농기구를 꺼내 손질하고 농사지을 때 필요한 것들을 보살폈으며 땅에 거름을 뿌리기도 했다.
봄이 시작되는 첫 날, 조상들은 일 년 농사를 준비하며 바쁘게 보냈었다. 사람들은 이 날이 되면 한 해 동안의 평안을 비는 의미에서 ‘입춘굿’, ‘보리 뿌리점’ 등과 같은 풍습을 행하였다.
예부터 제주도에서는 입춘굿을 펼쳤다. 무당조직의 우두머리인 수신방(首神房)이 맡아하는 굿은 농악대와 함께 각 집들을 방문해 걸립(乞粒)을 하고 상주(上主), 옥황상제, 토신, 오방신(五方神)을 제사하는 의식이 있었다.
또한 굿을 할 때면 많은 사람들이 모여 구경을 했는데, 이 때 사람들은 농업뿐만 아니라 어업, 축산업의 풍요를 함께 빌었다.
또 굿을 하고 나면 농악을 연주하는 사람들이 마을의 여러 집을 돌아다니면서 풍악을 울리고 돈과 곡식을 얻었다. 그렇게 얻은 음식을 가지고 신령님께 제사를 지냈다.
보리 뿌리점(麥根占)이란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그 뿌리의 많고 적음에 따라 그해 농사가 풍년인지, 흉년인지를 미리 점치는 풍습이다.
이날, 농가에서는 땅의 신에게 풍년을 기원한 뒤, 보리 뿌리를 뽑아본다. 사람들은 이 때 보리 뿌리가 세 가닥이면 풍년, 두 가닥이면 평년, 한 가닥이면 흉년이 든다고 여겼다. 이와 같이 농가에서는 주로 농사가 잘 되기를 빌고, 봄이 온 것을 축하하는 풍속을 많이 행했었다.
한편 입춘 때 내리는 비는 만물을 소생시킨다하여 반겼고, 이 때 받아 둔 물을 마시고 동침하면 아들을 낳는다하여 소중히 여겼다. 봄은 그야말로 만물이 소생하기 시작하는 계절의 시작인 셈이다.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인 입춘은 추운 겨울이 끝나고 따스한 봄이 찾아 왔음을 축하하며, 한 해 동안의 풍요롭고 평화스러움을 기원하는 절기이다.
*고재흠 씨는 2000년 월간문학 공간을 통해 수필가로 등단했다. 한국신문학 전북지회장·행촌수필문학회장을 지냈으며, 수필집 〈초록빛추억〉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