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0 08:06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정부·청와대
일반기사

"전북 출신 총리로 국민 대통합을"

이완구 총리 후임에…호남 소외 해소 차원 도내 인사 발탁 여론

이완구 국무총리가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 발목 잡혀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과연 후임 총리에 누가 임명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벌써부터 관가 주변에서는 특정인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으나, 도민들의 최대 관심사는 현 정부들어 계속돼 온 호남소외 인사를 해소할 대통합 인사가 이뤄질 것인지, 특히 전북 출신의 발탁이 이뤄질 것인지에 모아진다.

 

박근혜 대통령은 오는 27일 귀국 직후 이완구 국무총리의 사의를 수용한 뒤, 곧바로 후임 총리 인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 총리는 지난 20일 밤 늦게 중남미 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사의 표명 시점으로 따지면 이 총리의 재임 기간은 63일에 불과, 헌정 사상 최단명 총리라는 오명을 남기게 됐다.

 

초대 총리로 지명된 김용준 후보자의 사퇴와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빚어진 안대희·문창근 후보의 연쇄 낙마 사태는 인사문제와 관련해 현 정부에 깊은 상흔을 남겼다.

 

집권 3년차를 맞은 올해 박 대통령은 지난 1월 이완구 당시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총리로 지명했다.

 

개혁과제 추진과 정치권과의 소통에 방점을 찍은 정치인 출신의 총리 기용이었으나, 취임한지 두달 만에 성완종 파문의 직격탄을 맞으며 중도하차했다.

 

박 대통령은 귀국 이후 이 총리의 사의를 수용하며 후임 인선 작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이지만, 후임 총리 인선에 최대한 신중을 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법조인, 정치인, 언론인 출신 후보 등 다양한 카드를 써봤지만, 실패로 돌아갔다는 점을 고려하면 후임 총리는 ‘인사 트라우마’를 깰 수 있는 최선의 카드를 고르기 위해 숙고를 거듭할 것으로 관측된다.

 

공직 경험이 풍부한 인물이 발탁될 것이란 관측이 나도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차기 총리 후보는 도덕성과 국민대통합의 이미지에 맞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점이 꼽힌다.

 

차기 총리 후보마저 도덕성 시비에 휩싸인다면 집권 3년차 박근혜 정부에 돌이킬 수 없는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연금개혁 등 각종 개혁과제와 경제활성화를 차질없이 해내야 하고, 성완종 의혹에 대한 정공법으로 제시한 정치개혁도 완수해야 하는 상황에서 도덕성이 검증된 고위관료 출신이 차기 총리 후보에 적합하다는 말이 나돌고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조건은 대통합 인사라는 점이다.

 

친박계에 국한하지 않고, 세대, 계층, 지역을 아우를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곪을대로 곪아있는 여야간 갈등구조, 지역간 대결구도를 종식시키려면 현 정부들어 소외된 호남 출신 인사, 그중에서도 장차관 한명 없는 전북에서 총리를 발탁해 국민대통합을 이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송현섭 재경도민회장은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정권때도 인사만큼은 나눠주는 공생공영의 논리가 있었다"며 “이번 총리 인선은 현 정부가 국민통합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 여부를 가늠하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병기 bkweegh@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