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7:30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국회·정당
일반기사

[재·보선 후 위기감 고조된 전북 정치권] 전북, 더이상 '새정연 안전지대' 아니다

非새정연 세력 연대·호남 신당 출현 예고 / 정동영 전 장관 야권 분열 책임론에 직면

20대 총선의 바로미터가 될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이 4곳 모두에서 패배하는 ‘전패 쓰나미’에 휩쓸렸다. 당내에서는 지도부 책임론이 고개를 드는 등 한동안 잠잠했던 계파갈등이 불거질 조짐이다.

 

특히 당의 심장부인 광주에서 받은 민심의 혹독한 심판은 20대 총선을 앞두고 텃밭인 전북으로까지 확산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지역 정가를 흔들고 있다. 자연스럽게 20대 총선을 준비하는 입지자들의 발걸음도 빨라질 조짐이다.

 

뿐만 아니라 정국을 뒤흔든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도 제1야당이 힘 한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추풍낙엽처럼 떨어져 나가면서 야권의 대안세력으로서의 위치마저 흔들리는 모습이다.

 

△민심 회초리에 떨고 있는 정치권

 

“광주에서 무소속이 우리당(새정치연합) 후보를 많은 표 차이로 이긴 것은 더 이상 호남이 텃밭이 아니라는 반증이다” 전북지역 한 재선 의원은 30일 재보선 결과를 이 같이 평가했다. 그러면서 “인접 지역인 전북도 안심지역이 아니라”고 했다.

 

4·29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초반 새정치연합은 텃밭인 광주 서구을과 서울 관악을에서 승리를 기대했다. ‘성완종 리스트’가 터지며 이 같은 기대는 더욱 커졌다. 하지만 선거 때마다 공천 잡음 등으로 신뢰를 잃어왔던 새정치연합에 대해 호남민심은 과감히 회초리를 들었다.

 

이 같은 민심의 회초리에 새정치연합 소속 전북 정치권이 떨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지난해 전북 지방선거에서도 한 차례 ‘레드카드’를 받았다. 14개 시·군 자치단체장 중 7곳을 무소속 후보에게 내줬다. 뼈를 깎는 반성과 쇄신노력, 경쟁력 있는 후보 공천만이 등 돌린 전북 등 호남지역민들의 민심을 되돌릴 수 있을 것이라는 반성이 나온다.

 

반면 특정 정당을 선택하지 않은 채 20대 총선을 준비해 온 후보들은 어느 정도 마음의 짐을 벗어던진 모습이다. 굳이 기득권 정치세력인 새정치연합에 기를 쓰고 들어가지 않고서도 승부를 벌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실제 재·보선 직후 지역 정가에서는 20대 전북 총선이 새정치연합 세력 대 반대 세력의 대결구도로 확정됐다고 보는 시각이 높다. 새정치연합과 대적할 반대세력은 연대의 형태 또는 호남의 신당으로 출현을 예고하고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충격적인 결과다.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하지만 이번 결과가 20대 총선에서 반면교사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더 똘똘 뭉쳐서 앞으로의 선거를 준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명분·실리 모두 잃은 정동영

 

여권의 전승으로 끝난 이번 재·보선 패배 원인 중 하나가 야권분열이다. 그 중심에 제1 야당의 대선후보까지 지낸 과거를 뒤로 하고 탈당을 결행해 이번 재·보선에서 서울 관악을에 출마한 정동영 전 장관이 있다.

 

정 전 장관은 지난 27년 간 여권 후보에게 단 한 차례도 당선의 기회를 주지 않았던 야권의 텃밭 관악을을 넘겨줬다는 야권분열 책임론을 피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다. “야권분열로 선거에 패배할 경우 꼴찌한 사람이 책임져야지 야권 1등한 사람이 책임지겠냐”고 했으나 야권 1위가 아닌 꼴찌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정 전 장관은 야권분열 이라는 책임론 이외에 개인적으로도 심각한 내상을 입었다. 탈당 후 정치활동의 기반이 된 국민모임 역시 패배로 휘청거리면서 재기의 전망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정 전 장관이 정치적 재기를 위해 배수의 진을 쳤지만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잃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 전 장관이 이번 재·보선에서 호남출신 유권자들이나 진보진영 유권자들의 지지세를 일정부분 확인한 만큼 20대 총선에서 정치적 고향인 전주에서 활로 모색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이마저도 녹록치 않을 전망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대권 후보까지 지낸 정 전 장관에 대한 동정론이 지역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힘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시대가 변한 만큼 도민들도 2009년 재·보선 때처럼 무조건 받아들이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