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생긴 후 9일간 근무한 이송요원, 애초 병원 관리대상에 없어서울시, 삼성서울 비정규직·용역직원 전수조사
삼성서울병원에서 응급실 이송인력이 증상이 있는 채로 9일간 근무하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경위를 보면 병원이 용역업체 직원 등 비정규 인력에 대한 추적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정황이 드러난다.
14일 보건복지부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13일 발표된 137번 환자(55)는 2일부터 10일까지 의심증상이 있는 채로 응급실을 중심으로 병원 곳곳을 누비고 다녔다.
이 직원이 환자를 이송하면서 만진 침대, 휠체어, 엘리베이터 버튼 등 병원 환경 곳곳이 메르스 바이러스로 오염됐을지 모른다는 뜻이다.
메르스 잠복기를 고려하면 24일까지는 137번 환자로 인한 추가 감염자가 나올 수 있어 보건당국이 그때까지 긴장의 끈을 늦출 수가 없게 됐다.
삼성서울병원도 이러한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 24일까지 신규 외래·입원 환자를 안 받기로 했다.
137번 환자는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이송인력으로 일했지만, 그간 삼성서울병원의 관리 대상에는 빠져 있었다.
메르스에 감염된 응급실 이송인력은 삼성서울병원의 정규직원이 아니라 용역업체의 파견 인력으로 확인됐다.
복지부는 137번 환자가 모니터링 대상에서 빠진 경위를 조사한 결과 이 환자가 삼성서울병원 직원이 아니라 용역업체 직원이어서 접촉자 명단 작성 과정에서 빠졌다는 사실을 이날 늦게야 확인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이송인력 확진자가 생기자 부랴부랴 이송요원 90명 전원을 대상으로 체온을 확인하고 문진을 했다.
삼성서울병원 정규직원을 제외한 병원 내 인력을 통한 추가감염 우려가 커지자 서울시는 용역업체 직원 등 병원의 비정규 인력 전원에 대해 자체 조사에 들어갔다.
서울시 메르스방역대책본부 상황실장인 류경기 기획조정실장은 "삼성서울병원으로부터 비정규직 2천944명의 명단을 넘겨받았다"면서 "증상 유무를 유선으로 전수조사를 하고 필요한 조처를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