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0:33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타향에서
일반기사

'호남 속의 전북 소외'를 이겨내자

도민·출향민들 일치단결 / 살신성인 자세로 재무장 / 위기 극복 지혜를 모아야

▲ 김원기 前 국회의장
현 정권 출범 후 지난 2년 4개월간 임명된 30여 명의 국무위원 중 전북출신은 한 명도 없었다. 공석인 법무장관 후임에 전남 출신이 지명되었으니 청문회를 통과하게 되면 현 내각에 전남출신 장관은 두 명이 된다. 여전히 전북은 없다. ‘호남 속의 전북 소외’가 또 증명되는 셈이다. 검찰청, 경찰청, 국세청, 감사원 등 이른바 4대 권력기관이나 국정원, 군수뇌부에서도 전북인사는 찾기 힘들다. 청와대 비서관 40여 명 중에서도 전북출신은 한 명도 없다고 한다. 오죽하면 지난 2월 새정치민주연합 당 대표 경선 때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을 향해 “전북 출신 장관은 물론 차관조차 한 명도 없다. 이러고도 홀대 아니라고 할거냐”라고 쏘아붙여을까? 그 직후 정부가 전북 출신을 문화부1차관에 조용히 임명한 것을 보면 속이 좀 뜨끔하기는 했던 모양이다.

 

이런 판국에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을 ‘전북, 전남 국토관리청’으로 쪼개려는 용역이 진행되고 있다는 보도는 전북도민과 출향민들에게 또다시 극심한 상실감과 박탈감을 준다.

 

현 정권 들어 가속화하고 있는 전북 위상의 급전직하 추락이 절감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있는 5개의 지방국토관리청(서울·대전·원주·익산·부산) 가운데 익산은 규모 면에서 꼴찌에서 두 번째라고 들었다.

 

덩치가 훨씬 큰 서울과 대전청은 놔두고 호남을 관할하는 익산청을 굳이 전북, 전남청으로 분리하려 하면서 ‘조직 효율화’ 운운한다니 어이없는 노릇이다. 대통령은 공공기관의 효율화를 강조하면서 부채축소 등 경영개선과 조직 축소를 강조하는데, 정작 국토교통부는 거꾸로 가려하는 저의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사실 전북은 이런 박탈과 쇠락의 아픔을 간헐적이지만 끊임없이 겪어왔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2011년 토지주택공사(LH공사)의 진주 이전 결정이었다. 당시 이명박 정부는 지방균형발전을 위해 토지공사는 전주로, 주택공사는 진주로 이전하기로 확정했던 방침을 하루아침에 바꾸어 두 공사를 모두 진주로 이전키로 결정하고 시행했다. 전북은 이 때 모든 역량을 결집해 범도민적인 이전반대 운동을 벌였지만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자료를 찾아보니 정부의 공공기관이 전북에는 단 8개만 남아있는 반면 광주, 전남에는 56개로 호남의 87.5%가 광주, 전남에 편중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 필자가 경험하고 직접 관여했던 일이 생각난다. 국회의장으로 일하던 2006년 전북지역 법조인 대표들이 찾아와 광주고등법원 전주분원 설립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협력을 요청했다. 필요성이 크고 타당한 얘기여서 나름대로 열심히 노력했고 다행히 전주분원 설치가 성사되었다. 전북지역 법조인들의 일심단결 추진이 원동력이었지만 당시 전북 국회의원, 정부와 청와대의 전북 출신 인사, 그리고 한승헌 변호사 등 영향력 있는 원로 법조인까지 한마음으로 뛰어줌으로써 성공이 가능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물론 객관적인 조건을 볼 때 전북이 모든 사안에서 앞자리를 차지하기는 힘들다.

 

250만 명이던 인구는 180만 미만으로 줄었고, 쇠약해진 경제는 지역별 국민소득에서 충북 강원도에도 뒤진 꼴찌가 되었다. 충청권에서는 “충청지역 인구가 호남지역을 앞섰으니 국회의원 정수도 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충청권 한 도지사 사무실에는 ‘영충호(嶺忠湖)시대’라는 액자가 걸려있다. 영호남이 맞대응하던 시대는 가고, 영남 충청 호남의 순서로 호명해야 할 시대라는 호언장담이다. 그렇다 해도 전북에 대한 홀대는 도를 넘는다. 균형과 형평이 고려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해야 이 난국을 돌파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전북도민과 출향민들의 일치단결이 가장 큰 힘일 것이다. 물론 전북의 정치, 경제, 사회 지도자들이 바짝 정신 차리고 살신성인(殺身成仁)의 자세로 재무장하는 것이 선결 필수조건이다.

 

분열은 가장 큰 적이다. 부안에 들어서기로 했던 원자력발전소 폐기물처분장을 경주에 빼앗긴 것도 실은 전북의 분열이 결정적인 요인이었다고 본다. 위기를 기회(機會)로 바꾸는 것이 지혜이고 능력이다. 전북이 이제부터라도 똘똘 뭉쳐 ‘호남 속의 전북 소외’를 반드시 극복해낼 것을 주창한다. 정계에 오래 있었던 사람으로서 책임이 적지 않은 필자도 견마지로(犬馬之勞)를 다 하려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