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혁신안 발표… 당내 노선갈등 없을 듯 / 공정조세·증세, 女 공천 30% 의무화 제안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는 28일 당의 정체성으로 좌도 우도 아닌 ‘민생제일주의’를 제시하며 공정사회를 지향하는 민생복지정당을 당론으로 확정할 것을 요구했다. 혁신위가 제안한 정체성이 애초 예상보다 강력한 휘발성을 갖고 있지는 않아 그동안 정치권에서 우려했던 당내 노선갈등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6차 혁신안을 발표하면서 “새정치연합은 국민에게 희망이 되지 못했다. 현실에 안주해 미래를 일구는 데 게을렀고, 지역주의에 안주해 국민의 고통과 불안보다는 계파적 이익을 실현하기에 급급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새정치연합이 국민의 신뢰를 잃은 것도 당 구성원들이 중도개혁이나 좌클릭이니 우클릭이니 하는 추상적인 말 뒤에 숨어 개인과 정파의 이익을 앞세웠기 때문”이라며 “새정치연합이 국민의 신뢰 위에 수권정당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는 선거 전문정당이 아니라 유능하고 실력 있는 대중정당으로 거듭나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그 길의 시작은 국민의 삶 속에서 당 정체성을 확립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국민이 아파하는 곳에 새정치연합의 깃발이 있어야 한다”며 “지금 이 순간부터 새정치연합에는 오로지 민생제일주의로 통합된 ‘민생파’만 존재함을 선언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정사회 실현을 위해 ‘갑질 경제’ 타파와 민주적 시장경제체제, 선(先) 공정조세-후(後) 공정증세, 가계소득증대를 통한 국가경제 성장 원칙을 당론으로 확정할 것을 촉구했다. 또 사회적 약자를 위해 실질적 성평등 실현과 미래세대 전략 제시, 노후 보장제도 정비, 장애인 기본권 보장을 요구했다.
아울러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해 국회의원과 지방의원 선거 때 여성 30% 공천을 의무조항으로 입법화하고, 초선과 광역의원 선거에서 당선권 비례대표 후보의 3분의 1 이상을 직능·노동·농어민 등 민생복지 전문가와 현장 활동가로 공천하되 비정규직 노동자와 영세 자영업자를 상위 순번에 배치할 것을 요구했다.
혁신위는 이밖에 민생정치 의제를 추진하기 위해 당대표와 외부인사 1명이 공동 의장을 맡고 내외부 인사 7인씩 참여하는 민생연석회의를 상설기구로 설치해 내년 총선의 민생의제를 선정토록 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당내 노선 갈등을 촉발할 것으로 보였던 정체성 발표 내용이 다소 단조로운 느낌”이라며 “이번 발표로 갈등이 확산되지는 않겠지만 왜 그렇게 고민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