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3:22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일반기사

보이스 피싱, 이것만 알면 보인다 (상) 범죄 유형·현황

전북 4년간 71억원 피해…수법 모르면 누구나 표적 / 전북일보·전북지방경찰청 공동기획

보이스 피싱(전화 금융사기)이 나날이 진화하고 있다. 더 이상 연변 사투리를 사용하는 사람도 없고, 주로 노인을 노리던 과거와 달리 젊은 층에서의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

 

날로 지능화·조직화하고 있는 전화 금융사기는 ‘정신만 차리면 되는 것 아닌가?’, ‘아직도 당하는 사람이 있어?’라는 빈틈을 노려 그 피해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북일보는 전북지방경찰청과 함께 전북지역 전화 금융사기 현황을 살펴보고, 범죄 수법 및 유형별 피해사례, 예방법과 피해 구제 절차 등을 2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피해 급증…젊은 층도 예외 없어

 

지난 2006년 5월 18일, 국세청 직원을 사칭한 범인이 과·오납된 돈을 환급해준다는 사기전화로 800만원을 챙겼던 우리나라 최초의 전화 금융사기 사례를 시작으로 그 피해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전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에서는 총 238건의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 피해액은 28억원에 달했다. 또 2011년에는 152건, 2012년 82건, 2013년 173건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피해액은 71억원으로 집계됐다. 올 상반기에도 134건(피해액 15억)의 보이스피싱 범죄가 일어나 지난해 같은 기간(103건)에 비해 30.1%가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자 연령별로는 전체 134명 중 20대 43명, 30대 28명, 40대 20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30대가 전체 피해자의 절반 이상(71명·53%)을 차지한 반면 60~70대 이상 피해자는 25명(18.6%)으로 집계돼 고령층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취약하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차이를 보였다.

 

보이스피싱 수법이 계속해서 교묘해지고 있어 지속적인 경각심을 가지지 않고서는 당할 수밖에 없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 ‘보이스피싱·파밍·스미싱’…4세대까지 진화 중

 

음성(Voice)과 피싱(Phishing)의 합성어인 보이스피싱은 수사기관이나 금융기관 등을 사칭, 피해자의 불안 심리를 노리는 수법이다. ‘세금·보험 등을 환급해 주겠다’고 하거나 ‘계좌가 범행해 사용됐다’며 사기전화를 걸어 피해자를 속이는 게 전형적인 사례다. 또는 자녀 납치를 빙자해 몸값을 요구하는 등 계좌정보를 캐내거나 피해자를 직접 현금인출기로 유인해 계좌이체를 받는 수법이다.

 

이 같은 수법이 널리 알려지자 2세대가 등장, 피해자 스스로 금융·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공공기관의 실제 인터넷 사이트와 흡사한 가짜 홈페이지를 제작해 피해자의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이 나타났다.

 

3세대는 여기서 더 나아간 일명 ‘파밍(Farming+Phishing)’으로 이메일(E-Mail)을 통해 악성 코드를 전송, 미리 불특정 다수의 개인 컴퓨터에 심어둔 뒤 금융기관이나 관공서 인터넷 홈페이지에 피해자가 접속을 시도하면 자동으로 가짜 홈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해 정보를 빼가는 수법이다.

 

또 사기문자 메시지를 보내 휴대전화에 악성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해 금융정보를 탈취하거나, 모바일 청첩장·쿠폰번호 등을 빌미로 URL을 클릭하도록 해 금액이 청구되도록 하는 ‘스미싱(SMS+Phishing)’도 있다.

 

특히 최근 유행하는 4세대 전화 금융사기는 범행 대상의 정보를 미리 파악한 뒤 접근하는 피해자 ‘맞춤형’ 수법을 사용하는 양상을 보여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상황이다.

 

전북지방경찰청 관계자는 “신종 수법이 끊임없이 등장하는데다 현금 인출책, 송금책, 대포통장 모집책 등 국내·외에 걸쳐 조직적으로 보이스피싱이 이뤄지고 있어 강력한 단속과 예방법 홍보에도 피해가 쉽게 줄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