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시의회 잇따라 방문
정읍시 감곡면 통석리에 들어서는 ‘서남권 추모공원’(서남권 광역 화장장) 건립 사업으로 정읍시와 갈등을 빚어왔던 김제시가 지난 11일 정읍시에 공식 사과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정읍시청과 시의회를 잇따라 방문한 이건식 김제시장은 “이유 여부를 떠나 그동안 정읍시민의 마음을 속상하게 했던 만큼 진심으로 미안하다”며“대승적 차원에서 김제시도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시장은 이어 “김제시 참여를 조건으로 전라북도에 인센티브 지원을 건의했고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며“서남권 추모공원사업은 ‘전국 시장·군수·구청장 청와대 초청 간담회’에서 전국 우수사례로 소개될 만큼 수범사업”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에 김생기 정읍시장은“이웃 지자체가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나가겠다”고 화답하고 “전북도 갈등조정위의 권고결정 당시 김제시가 참여했을 경우 전북도에서 2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한 만큼 전북도의 재정적 인센티브가 확실해 질 수 있도록 김제시가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읍, 고창, 부안 3개 시·군이 화장장을 광역사업으로 추진한 배경을 설명한 김시장은“처음부터 김제를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었으며 어느 정도 공정률을 보이면 김제도 참여할 것으로 예측 했었다”고 말했다.
또한 인근 공원묘원과의 협약취소 사유, 부지선정을 위한 네 차례에 걸친 주민제안공모, 토지취득을 위한 공유재산심의 과정 등 당시 김제시와 인근 주민이 제기했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했다
이자리에서 양도시 실무자들은“협의를 통해 전라북도 인센티브 지원에 대해서는 명문화된 서류가 제시되어야 하고, 감곡면민의 동의절차 이행을 위해 결자해지(結者解之) 차원에서 김제시와 김제시의회의 특단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 등을 제시했다.
한편 서남권 추모공원의 현재 공정율은 65%로, 오는 10월까지 공사를 마치고 시운전을 거쳐 11월부터는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