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진안·순창·무주 확보율 100% 못 미쳐
북한의 서부전선 포격 도발로 남북한 간 긴장감이 높아진 가운데 전북지역 일부 군의 주민대피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에는 정부지원시설 9개를 포함해 모두 779개의 주민대피시설이 마련돼 있다. 그러나 장수군의 주민대피시설 확보율은 21.3%로 주민 10명 가운데 2명밖에 수용하지 못하는 상태다. 장수군뿐만 아니라 임실군 50.7%, 진안군 60.1%, 순창군 76.2%, 무주군 81.8% 등도 주민대피시설 확보율이 10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민대피시설은 읍 단위 이상 인구 4명당 3.3㎡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소요량을 산출한다.
장수군의 경우 주민대피시설을 이용할 대상 인원이 7544명으로 6224㎡를 확보해야 하지만 실제 확보량은 1324㎡에 불과하다. 더욱이 장수읍에만 4개 주민대피시설이 지정돼 나머지 6개 면에는 주민대피시설이 전무한 상태다. 임실군도 7257명이 대피할 공간 5987㎡가 필요하지만 3033㎡만이 확보돼 있다. 장수군과 상황이 비슷해 주민대피시설이 임실읍에만 5개 지정돼 있고 나머지 11개 면에는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 관계자는 “군 단위 지역은 주민대피시설로 활용할 수 있는 기관, 시설이 부족해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나 지자체에서 주민대피시설 확충을 독려하고 있지만, 예산이 수반되지 않아 지정 대상 건물 자체가 적은 지역은 단기간 내 주민대피시설 확보가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