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57억 반영…농식품부, 113억 증액 요구 / 부처간 총사업비 조정 실무 협의,필요성 재검토
새만금 농·생명용지 방수제 구간(43.5㎞)의 전력공급망 지중화와 관련해 농식품부가 기재부와 총사업비 조정을 위한 실무협의를 진행하고 있어 성사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북도 등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지난 10월부터 기재부와 총사업비 증액을 위한 사전 실무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기재부에서 반영된 총사업비 57억 원으로는 지중화를 추진하기 어렵다며 170억 원으로 증액시켜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애초 182억 원을 요청했으나, 기재부는 예산부담 등을 이유로 57억 원만 반영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지중화의 필요성을 들며 기재부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다.
새만금 종합개발계획과 기본계획에 ‘전력공급망의 지중화를 통한 쾌적한 새만금 조성 지향’이 명시돼 있는데다, 강풍과 해무 등 자연 재해로부터의 안전 도모를 위해 지중화가 절실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 지중화할 경우, 장기적으로는 유지관리 및 교체비용이 지상 설치(15억5500만 원) 보다 연간 11억6800만 원이 절감된다고 제시했다.
특히 새만금 농·생명용지는 향후 무인헬기를 이용한 직파 영농과 항공방제 등 첨단 농법이 활용될 지역으로, 전력공급시설의 지상설치 때는 장애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방수제 공사가 대부분 올 연말 완공될 예정으로, 내년부터 지중화 추진을 위해서는 예산증액이 절실하지만 기재부에서는 아직 명확한 답변이 없는 상황이다. 다만 지난달 30일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위에서 기획재정부 차관이 국회 김관영 의원(새정연, 군산)의 전력공급망 지중화 추진 필요성 지적에 대해 ‘재원분담 부분에 대해 다시 한 번 검토하겠다’는 답변에 기대를 걸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지중화가 되지 않을 경우 새만금 이미지 훼손 및 외자 유치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면서 “총사업비 증액이 안될 경우 첨단농업 실현이 어렵고, 장기적으로는 지중화 설치비보다 유지관리비 지출이 커 경제성 확보도 곤란하다”며 예산 증액을 강력 요구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