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진 "노년층 참여 떨어질 것" 김태흠 "김무성 이해안돼"
새누리당이 4·13 총선의 후보 경선 과정에서 적용하기로 한 '휴대전화 안심번호 여론조사'가 29일 의원총회에서 또다시 논란이 됐다.
이동통신사가 휴대전화 가입자에게 기존 번호와 별개로 가상의 임시번호를 부여해 여론조사용으로 제공하는 안심번호를 이용한 여론조사는 김무성 대표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합의한 뒤 추진해왔지만 친박(친박근혜)계에서는 물리적·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회의적 입장을 보여왔다.
이날 의총에서도 황진하 사무총장이 안심번호를 이용한 여론조사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후 비공개회의에서 논쟁이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10일까지 관련 시스템을 마련한 뒤 11일부터 안심번호를 요청해 19일부터는 경선 여론조사를 실시하겠다는 계획을 담은 자료가 배포됐고, 이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지만 일부 의원들이 반대 의견을 내놨기 때문이다.
실제로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의총 중에 기자들과 만나 "상향식 공천도 처음도입하는데 안심번호까지 적용하느냐"면서 "안심번호를 도입한다면 먼저 당원에 대해서만 적용해 본 뒤에 (일반국민에게도 확대 적용)해야지"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어르신들이 안심번호 전화가 오면 누를 수 있겠냐. 노년층 참여가 떨어질 것"이라면서 "점차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박계 김태흠 의원도 "주소 불일치 문제로 지역 유권자가 아닌 사람이 후보를 선택하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는데도 밀어붙이는 이유가 뭐냐는 이야기가 오갔다"며 "빈대 한마리 때문에 초가삼간을 다 태우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시골 사는 노인층은 휴대전화가 없는데, 그런 분들은 다 배제되는데어느 나라에서 여론조사만으로 후보를 선정하느냐. 코미디"라며 "김무성 대표가 요즘 당 운영하는 걸 보면 너무 자기 주관적인 부분을 강하게 추진하는데, 도저히 이 해할 수가 없다"고도 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는 분이 있었고, 열에 아홉은 큰소리를 냈다"며 격론이 있었음을 언급했다.
김 대표는 그러나 의총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려하는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오늘 의총에서) 설명이 잘 돼서 다 해소가 됐다"고 주장했다.
전략기획본부장인 권성동 의원도 "(안심번호 관련) 이해를 잘 못하는 측에서 문제 제기가 있었지 격론은 아니다"고 했고, 홍일표 의원은 "(김무성)대표가 기술적인부분까지 답변해서 거의 문제가 해소됐다"고 전했다.
안심번호는 지난해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법률적 토대가 마련됐지만 실제 총선에 도입 여부를 놓고 이견이 있어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